[4·27 재보선] “우리가 해야” VS “더는 안돼”… 5월 6일로 연기된 與 원내대표 경선
입력 2011-04-29 18:46
4·27 재보선 패배 후폭풍으로 인해 다음달 2일에서 6일로 연기된 한나라당 원내대표 경선은 주류와 비주류의 충돌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가능성이 크다.
주류인 친이명박계는 현 정권에 대한 무한 책임론을 내세워 원내 지휘봉을 잡겠다는 각오다. 친이계 한 의원은 29일 “정권을 반드시 성공시켜야 하는 책임 있는 주류가 원내대표를 맡아 물가·주택 문제를 바로잡고 실질적인 개혁을 이끌어야 한다”며 “선거 패배에 따른 주류 책임론은 6월 말이나 7월 초쯤 열리게 될 전당대회에서 당원들에게 묻는 게 옳다”고 말했다.
주류 측에선 각각 PK(부산·경남)와 TK(대구·경북) 출신인 3선의 안경률, 이병석 의원이 주자로 나섰다.
하지만 주류 역할론을 강조한 이재오 특임장관은 이번 경선 때 한발 뒤로 물러서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 측근 의원은 “재보선을 핑계로 안 의원을 밀기 위한 모임을 가졌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주류 후보들을 이 장관의 ‘아바타’라고까지 얘기하는 상황에서 오해를 살 일은 하지 않겠다는 게 이 장관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에 반해 중립·소장그룹은 주류 원내대표 불가론으로 가닥을 잡은 상태다. 주류가 원내대표가 될 경우 수직적인 당·청 관계가 바뀌지 않는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특히 소장파 의원들이 28일 원내대표 경선 연기를 논의하는 의총을 열자며 불과 1시간 만에 74명의 서명을 받아 김무성 원내대표에게 제출하며 세를 과시하자, 주류 대세론이 흔들리고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민본21’ 등 당내 소장파 그룹은 “당 쇄신을 추진할 수 있고, 청와대에 할 말은 하면서 협력하는 중립적 인사 중심으로 원내대표 경선이 치러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립성향의 4선 황우여 의원과 3선 이주영 의원이 경선에 뛰어든 만큼 소장파 중심으로 이들의 단일화를 이끌어 내려는 움직임도 이어질 전망이다.
60명에 달하는 친박근혜계가 주류와 중립·소장그룹 중 어느 손을 들어줄지도 변수로 꼽히는 가운데, 2일 열리는 의원 연찬회에서 당 쇄신방안을 놓고 주류와 비주류 간 대결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장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