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저축銀 비대위장 “사전인출 태연하게 시인… 분통터져 112 신고”

입력 2011-04-28 18:36

지난 2월 25일부터 집회는 계속되고 있다. 부산저축은행의 영업정지(17일)가 있고 나서 일주일여 뒤부터다. 어느새 두 달이 넘었다. 답답한 마음에 부산저축은행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나선 김옥주(51)씨는 28일 본보와 전화통화에서 최근 부당 예금인출 사태와 환수 조치 등에 대해 “만시지탄(晩時之歎)”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김씨는 “영업정지가 있은 직후부터 예금자들이 VIP(우량고객)들의 ‘특별 인출’에 대해 부산저축은행에 파견 나와 있던 금융당국 직원에게 따져 물었다”며 “그런데도 이들은 팔짱만 끼고 있었다”고 목청을 높였다.

김씨는 부산저축은행의 영업정지 다음날 뒤늦게 은행에 가서 상담을 받던 중 영업정지 전날 VIP의 인출 얘기를 처음 들었다. 그는 “한 고객이 ‘자기 친구는 전날 은행직원이 전화해 줘서 돈을 먼저 뺐다는데 이럴 수 있느냐’고 하소연하니까 은행 직원이 ‘일부 VIP에게는 사전에 연락했다’고 태연하게 말하더라”고 했다. 그는 “너무 화가 나서 그 자리에서 112에 신고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출동한 경찰도 무기력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저축은행 직원들은 ‘CCTV를 보여 달라’는 요구에 압수수색 영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은행 지점장도 공개를 거부했다. 불법 행위가 공공연하게 벌어지고 이 사실을 은행, 금융당국, 경찰까지 알고 있었는데도 피해자의 억울한 목소리는 허공으로 사라졌다. 금융위원회와 금감원은 뒤늦게 부당 예금인출 과정에서 영업정지 정보가 누설된 사실이 있었는지 자체 점검에 나섰다. ‘그런 사실이 없다’고 강하게 부인하던 데서 ‘누설 가능성 내지는 묵인이 있었는지 보겠다’고 한발 물러난 모양새다.

이에 대해 김씨는 “영업정지 전날 새벽 1시까지 돈을 빼가는 고객을 금융당국 직원들이 보고 있었는데 묵인한 게 뻔한 것 아니냐”며 발끈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부당 예금인출에 대해 곧바로 조사에 들어갔지만 조사를 마무리하지 않은 상황에서 공표를 할 수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