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재보선] “총사퇴 정도로는 안된다”… 與 주류 교체론 급부상

입력 2011-04-28 21:52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한나라당 지도부가 28일 총사퇴키로 하고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등 수습책을 내놓았지만 당의 전면 쇄신을 요구하는 여권 내 목소리는 오히려 더 커지는 분위기다. 소장파 등 쇄신론자들의 주장은 ‘주류세력 교체’로 압축된다. ‘지도부 총사퇴’ 정도로는 내년 총선, 대선을 앞두고 이반된 민심을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이다.

오전 최고위원회의에 앞서 가진 티타임에서 안상수 대표가 원내대표 경선을 예정대로 다음달 2일 실시하겠다고 하자 나경원 정두언 서병수 최고위원 등이 비상체제의 틀을 잡은 뒤 차기 원내대표를 선출하자며 반대했다. ‘주류 역할론’을 앞세운 이재오 특임장관 등 친이명박계가 안경률 의원 등을 원내대표로 밀고, 이후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당을 좌지우지하려 한다는 의구심 때문이다. 결국 최고위는 원내대표 선거는 예정대로 하되 비대위원장은 별도로 뽑는 ‘투톱 체제’를 구성하는 것으로 결론을 냈다.

하지만 원내대표 경선 연기론은 수그러들지 않았다. 정 최고위원은 “국회의원, 지구당위원장 연석회의를 소집해 당 진로를 토론한 뒤 경선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성식 의원은 “주류의 아바타라고 이해될 수 있는 형태로 원내대표 경선이 치러진다면 국민은 더는 한나라당을 믿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본21’ 등 소장그룹은 의원 74명의 서명을 받아 경선 연기를 위한 의총 소집요구서를 김무성 원내대표에게 제출하기도 했다. 이날 오후 의원총회에서 실시된 표결에서도 경선 연기에 대한 찬성이 44명, 반대 43명, 기권 3명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안 대표 등 지도부는 원내대표 경선을 다음달 6일로 연기하기로 방향을 틀었다. 당초 경선일로 잡았던 다음달 2일에는 당 쇄신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한 의원 연찬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원내대표 경선뿐 아니라 비대위 구성과 활동 내용을 놓고도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당 대표’ 역할을 할 비대위원장을 누가 맡을지를 두고도 의견이 분분하다. 최고위원 가운데 한 명이 돼야 한다는 의견부터 외부 명망가를 포함한 당 안팎의 중립 인사를 전격 발탁해야 한다는 견해까지 다양하다. 다선인 김형오 전 의장과 홍사덕 의원이 적임자라는 주장도 있다.

비대위가 구성될 경우 한나라당은 조기 전당대회 국면으로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남경필 정두언 원희룡 나경원 등 수도권 젊은 의원들이 당의 얼굴을 맡아 당을 전면 쇄신해야 한다는 ‘수도권 대표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또 신주류 핵심으로 부상한 김무성 원내대표와 홍준표 최고위원이 당권 도전에 나설지도 주목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당내에서 조기 전대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공개적으로 나오지 않고 있어 비대위 중심으로 당 쇄신 및 당·정·청 개편 방안이 논의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 블로그에 ‘이제 우리 모두 죽을 때가 왔다’는 글을 올리고 “비상체제 가동, 과감한 세대교체, 실세 전면 복귀 등도 모두 일리는 있지만 정답은 아니다”며 “이번에는 죽더라도 4년 후, 8년 후를 보고 정치하자”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도 바뀌어야 한다. 일만 열심히 한다고 되는 게 아니다”고 지적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