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재보선] ‘민심의 벽’ 만난 MB, 당·정·청 개편?
입력 2011-04-28 02:04
이명박 대통령이 4·27 재보선 이후 정국 구상에 돌입했다. 재보선 결과가 여당의 패배로 확인됨에 따라 공황 상태에 빠진 여권 전체를 추슬러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구상의 핵심은 당·정·청 개편과 국정운영 기조 변화 두 가지다.
그동안 미뤄 놨던 4~5개 부처 개각은 5월 중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이 대통령의 결심에 따라 개각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27일 “인선에 필요한 준비는 다 해 놓았다”며 “대통령 결심만 남은 상태”라고 말했다. 구제역 파동 당시 사의를 표명했던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과 장수 장관인 정종환 국토해양부, 이만의 환경부 장관이 1차 대상이다. 여기에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는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과 현인택 통일부 장관도 개각 대상으로 거론된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양극화 심화와 물가 대란, 전셋값 폭등 등 서민경제의 어려움이 커진 게 재보선 패배의 원인이라는 자성론이 나오고 있다. 경제팀 개편에 개각의 초점이 맞춰지는 분위기다.
임태희 대통령실장을 포함한 청와대 개편도 논의가 시작될 전망이지만, 개각 보다는 늦춰질 가능성이 높다. 임 실장에 대한 이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운 데다, 재보선 결과를 청와대 개편과 연계하지 않겠다는 이 대통령의 의지도 강하다. 한나라당 내부 움직임 등 정국 전체 흐름을 살핀 다음 청와대 개편 카드를 꺼내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청와대 관계자는 “개각 요소는 있지만, 당장 청와대 참모들을 바꾸어야 할 특별한 이유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물론 한나라당이 청와대 참모들을 강하게 공격하고 나설 경우, 대통령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 변수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6·2 지방선거 참패 이후 한나라당의 거센 쇄신 요구에도 불구하고 한 달 만인 7월 초 대통령실장을 교체했고, 두 달 뒤에 8·8 개각을 단행한 바 있다.
국정운영 방식의 큰 흐름은 ‘정치권과의 화합’이 될 전망이다. 재보선 이후 여권 전체가 내년 4월 19대 총선 대비 체제로 전환되는 만큼 이 대통령도 이에 걸맞은 메시지를 던져야 한다는 논리다. 여권 내 자중지란이 재보선 패배의 주요한 원인이었던 만큼 친이계와 친박계의 화해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대통령과 다음 달 8일까지 유럽 특사를 다녀오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5월 회동’이 정국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청와대 관계자는 “물가관리,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4대강 사업 등 주요 국정과제들은 변함없이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