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개 부처 5월중 개각… 靑 일부도 쇄신 가능성

입력 2011-04-27 21:46

이명박 대통령이 4·27 재보선 이후 정국 구상에 돌입했다. 재보선 결과로 어수선해진 여권 전체를 다독여 집권 후반기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정국 구상의 핵심은 당·정·청 개편과 국정운영 기조 변화 두 가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그동안 미뤄놨던 4∼5개 부처 개각은 5월 중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이 대통령의 결심에 따라 개각 시기가 앞당겨질 수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27일 “인선에 필요한 준비는 다 해 놓았다”며 “대통령 결심만 남은 상태”라고 말했다. 구제역 파동 당시 사의를 표명했던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과 장수 장관인 정종환 국토해양부, 이만의 환경부 장관이 1차 대상이다. 여기에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는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과 현인택 통일부 장관도 교체 대상으로 거론된다.

물가 대란과 전셋값 폭등 등을 고려한 경제팀 교체가 이번 개각의 핵심이 되는 셈이다. 주중국 대사를 마치고 복귀하는 류우익 전 대통령실장의 거취도 관심이다.

임태희 대통령실장을 포함한 청와대 개편은 개각보다는 시간이 걸릴 듯하다. 임 실장에 대한 이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운 데다, 재보선 결과를 청와대 개편과 연계하지 않겠다는 이 대통령의 의지도 확고하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당장 청와대 개편에 나서기보다는 정국 흐름을 보면서 개편 폭과 시기를 결정하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청와대 관계자는 “개각 요소는 있지만, 당장 청와대 참모들을 바꾸어야 할 특별한 이유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다만 검찰총장 임기가 만료되는 8월 전후로 사정 라인 인사가 이뤄질 경우 권재진 민정수석 등 일부 참모 인사가 이뤄질 개연성은 있다.

국정운영 방식의 큰 흐름은 ‘정치권과의 화합’이 될 전망이다. 재보선 이후 여권 전체가 내년 4월 19대 총선 대비 체제로 전환되는 만큼 이 대통령도 이에 걸맞은 메시지를 던져야 한다는 논리다. 이 때문에 이 대통령과 다음 달 8일까지 유럽 특사를 다녀오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5월 회동’이 정국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