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석화 비자금 의혹 수사 금호아시아나로 번진다

입력 2011-04-27 21:50

검찰의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 비자금 조성 의혹 수사가 금호가(家) ‘2차 형제의 난’으로 비화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박찬구 회장 측을 고소한 인물이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측근 인사인 C업체 S대표로 알려지면서 형제 간 갈등이 검찰조사를 불러왔다는 분석이다.

서울남부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차맹기)가 박찬구 회장 측 인사의 진술을 통해 박삼구 회장 측이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차명계좌와 비자금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이 같은 추측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S대표는 2006년 금호석화 협력업체 사장단 20여명을 모아 ‘금호를 사랑하는 모임’을 만들었다. 그러나 박찬구 회장과 박삼구 회장 간 갈등이 불거진 2008년 박삼구 회장 편을 들면서 박찬구 회장과 사이가 멀어졌다. 2009년에는 금호석화가 S대표 등 울산공장 협력업체 11곳을 일방적으로 계약해지해 상경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S대표는 박삼구 회장 측근 인사들과 수년 동안 거래를 해 오면서 긴밀한 관계를 형성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와중에 박찬구 회장의 비자금 조성 과정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검찰이 하청업체 임원들 명의의 차명계좌 10여개를 발견했다. 계좌에는 60억∼100억원 규모의 자금이 5억∼6억원씩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차명계좌의 명의는 지난 12일 검찰이 압수수색한 서울화인테크 L, H, J이사 등 임원급 인사의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검찰 조사에서 “금호그룹에서 일할 때 당시 자금을 담당하는 박삼구 회장 측 고위 임원의 부탁으로 통장을 만들어 전달했다”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화인테크는 1999년 고 박정구 회장이 금호그룹에 재직할 당시 창사 인사들이 회사를 떠나며 만든 업체다. 이후 서울화인테크는 금호석화 측과 계약을 맺으며 거래해 왔다. 차명계좌의 자금이 2000년 이전에 움직였을 가능성이 높은 대목이다.

검찰은 박찬구 회장과 박삼구 회장이 다른 협력업체 임원들을 통해서도 비슷한 방식의 차명계좌를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