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 거목 고 김진호 목사 "감리교 거듭나야"

입력 2011-04-26 19:51

[미션라이프] 25일 오후 6시 서울 남창동 상동감리교회(서철 목사) 소예배실. 목회자와 교인, 애산 김진호 목사의 후손 등 300여명이 가득 메웠다. 애산의 설교집인 ‘무화과1’과 1940년대 북한 북동부 지방의 목회 경험을 적은 ‘북선전도약사(北鮮傳導略史)’의 출간을 기념하기 위해서다.

1873년 경북 상주에서 출생한 애산은 20대에 상경해 상동감리교회를 맡고 있던 전덕기 목사로부터 세례를 받았다. 이후 신학을 공부하고 1914년부터 상동교회 전도사를 시작으로 배재학당 교사, 정동교회 전도사로 사역했다. 신민회 활동, 3·1운동 가담 혐의로 서대문감옥에 투옥되었다 풀려나 인천 내리교회, 궁정동교회, 삼청동교회를 거쳐 1940년 함경북도 청진 지방으로 파송받아 여러 교회를 설립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일제와 공산 정권의 압박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설교를 필기체 한자인 초서체로 기록했다. 47년 월남, 60년 88세의 일기로 소천했다. 98년엔 건국 50주년 기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됐다.

애산은 민족을 사랑했을 뿐만 아니라 믿음과 전도의 사람이기도 했다. 분란이 있던 인천 내리교회에 부임해 전도에 집중해 교인을 6~7배로 늘어나고, 자연스럽게 교회를 정돈했다.

이처럼 애국자이자 목회자로서 큰 족적을 남긴 애산에 대해 조영준 정동제일교회 원로목사는 “오늘날 감리교회의 참혹한 현실에서 위대한 신앙의 선배 앞에 사죄하는 마음이 저절로 우러난다”며 “자기의 모든 것을 내놓고 신앙과 애족의 삶을 산 선배 앞에서 감리교 모든 목회자들이 회개하고 새롭게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애산의 저서는 후배들에게 감화와 도전을 줄 뿐만 아니라 사료적 가치도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김흥수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소장은 “북한 교회사 연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문서”라고 했고, 오세종 기독교사료연구소 소장은 “애산의 설교집은 국내 유일의 순한문 설교집으로 방대한 내용을 완전히 번역하는 게 급선무”라고 말했다.

애산의 손자인 김주황(애산교회) 목사가 소장하고 있는 애산의 설교는 현재 1500편으로 이번에 번역돼 나온 설교는 40여편에 불과하다.

국민일보 미션라이프 김성원 기자 kernel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