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위치 추적 후폭풍] 美상원 5월 청문회… “애플·구글 출석하라”

입력 2011-04-26 22:34

스마트폰 위치정보 수집 논란이 확대되면서 미 의회가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미 하원 에너지·통상위원회는 25일(현지시간) 애플, 구글 등의 경영진 앞으로 서한을 보내 위치정보 수집에 대해 따져 물었다. 두 회사 외에도 윈도폰7 운영체제(OS)를 개발한 마이크로소프트(MS)와 노키아, 리서치인모션(RIM), 휴렛패커드(HP) 등 스마트폰 제조사에도 서한이 발송됐다. 각사는 위치정보 추적, 저장, 사용 등에 대해 다음 달 9일까지 답변을 제출해야 한다.

알 프랑켄 미 민주당 상원의원도 “소비자들은 스마트폰이 필요 이상 똑똑해지길 바라지 않는다”면서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민사소송 가능성을 언급했다. 프랑켄 의원은 다음 달 10일 모바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했으며 애플과 구글 측에 출석을 요청했다.

일리노이주 검찰총장인 리사 마디간도 저장되는 정보의 종류, 기간, 저장 목적 등을 묻기 위해 애플 및 구글 대표자와 면담을 요청하는 서한을 발송했다.

미국 내 아이폰 사용자 2명은 “애플이 위치정보 수집을 하지 못하도록 명령을 내려 달라”며 지난 22일 플로리다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변호인은 “사법당국도 위치추적을 하려면 영장을 받아야 하는데 애플은 영장도 없이 이런 일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논란이 확산되면서 존 케리 민주당 상원의원과 존 매케인 공화당 상원의원이 지난 12일 제안한 개인정보 보호대책 법안이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미 일간 USA투데이는 전망했다. 이들 법안은 사업자가 민감한 개인정보를 수집할 경우 소비자의 명확한 동의를 얻게 하고 제3자에게 전송될 수 있는 정보 수집은 소비자가 거부할 권리를 포함시키는 등 개인정보 보호 강화를 골자로 하고 있다.

USA투데이는 위치정보 수집 논란에 애플과 구글이 ‘타이거 우즈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불륜 스캔들이 터진 후 입을 닫은 우즈처럼 두 회사도 일절 언급을 회피하며 사태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병가 중인 애플 최고경영자 스티브 잡스가 위치추적을 부인했다고 시넷 등 미 언론들이 온라인 매체 맥루머를 인용해 보도했다. 한 사용자가 “내 아이폰에 내장된 위치추적 프로그램을 설명해 달라”는 이메일을 보내자 잡스는 “그들(안드로이드)은 한다. 하지만 우리는 누구도 추적하지 않는다”면서 “주변에 떠도는 정보는 거짓”이라고 답장을 보내왔다는 것이다.

잡스가 예전부터 소비자들의 이메일 질문에 종종 단답형 회신을 해 왔다는 점에서 이 답변이 애플의 공식 입장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