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위치 추적 후폭풍] 秒단위 행적 파악… 사용자에겐 ‘전자발찌’

입력 2011-04-26 18:23


애플의 위치 정보 수집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 각국 정부가 조사를 진행 중이고 미국에서는 소송까지 진행되고 있다. 애플에 이어 구글도 개인 위치 정보를 수집해 온 것으로 밝혀져 스마트폰이 ‘전자발찌’가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애플과 구글의 차이는=26일 외신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애플과 구글은 모두 개인의 위치 정보를 수집해 왔다. 하지만 방식이 다르다. 애플의 아이폰은 로그 방식,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들은 캐시 방식으로 위치 정보들이 저장된다.

로그 방식은 위치 정보 파일이 스마트폰에 저장, 축적된다. 애플이 아이폰으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처음 주장한 프로그래머 앨러스데어 앨런과 피트 위든도 “아이폰과 아이패드에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록한 ‘consolidated.db’라는 파일이 자동으로 저장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애플 온라인 장터 ‘아이튠즈’에 동기화할 때 사용자 컴퓨터에 자동으로 남는다.

반면 안드로이드폰의 캐시 방식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저장된 정보가 자동 삭제된다. 하지만 구글도 서버에 일정 시간마다 위치 정보를 전송토록 하고 있다. 차이라면 기기 자체에 기록이 남지 않아 분실이나 도난의 경우에 비교적 안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위치 정보 수집 범법 행위인가=애플의 개인 위치 정보 수집 자체는 범법 행위가 아니다. 애플의 약관에도 ‘아이폰과 같이 GPS(위성항법장치) 기능이 부가된 애플 제품은 주기적으로 GPS로부터 이동통신 및 와이파이 기지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록하고, 정보는 아이폰에 축적된 후 주기적으로 애플 서버로 전송돼 저장된다’고 명시돼 있다.

논란의 핵심은 위치 정보의 암호화와 개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저장됐는지 여부다. 아이폰의 위치 정보는 암호화되지 않아 ‘아이폰 트래커’라는 프로그램만 있으면 누구나 손쉽게 초 단위로 개인의 행적을 파악할 수 있다. 이 정보들이 제3자에게 넘어가면 사생활 침해는 물론 범죄 도구로 악용될 수 있다.

익명성 여부는 법 위반과 직결된다. 애플 약관에는 ‘(위치) 정보가 익명의 형식으로 수집되고, 고객이나 고객의 아이폰을 특정하지 않는다’고 돼 있다. 하지만 이를 실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애플은 묵묵부답이다. 한국에서 위치 정보 사업자로 등록할 때도 애플은 익명으로 개인 위치 정보를 수집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애플이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형태로 위치 정보를 수집했다면 처벌을 면할 수 없다.

반면 구글은 비교적 이 같은 논란에서 자유로워 보인다. 구글 안드로이드폰은 그나마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고, 단말기에 축적된 위치 정보도 48시간이 지나면 삭제하는 등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해 뒀다. 구글은 해명도 적극적이다. 구글은 최근 공식 자료를 통해 “구글의 위치 정보 서버에 전송되는 모든 정보는 익명으로 처리되며 특정 사용자를 구분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위치 정보 수집 목적은=1차적 목적은 정확한 위치 파악이다. GPS는 오차가 커서 다른 보조수단이 필요하다. 뉴욕타임스(NYT)는 25일 애플과 구글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지도의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위치 정보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애플도 약관을 통해 ‘애플 위치 기술의 정확도와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고 밝히고 있다. 이렇게 수집된 위치 정보들은 내비게이션, 지도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애플과 구글이 위치 정보 수집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온라인 광고 때문이라는 게 정설이다. 애플은 ‘아이애드’, 구글은 ‘애드몹’을 통해 모바일 광고시장에 진출한 상태다. 위치 정보는 이른바 타깃 광고의 기반이 된다. 개인의 위치와 동선을 파악해 필요한 광고를 내보낼 때 광고 효과는 극대화될 수 있다. NYT에 따르면 모바일 광고시장 규모는 2015년까지 25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