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념편향 국사교과서 ‘國定’ 검토할만
입력 2011-04-26 17:37
한 나라의 발자취를 기억하는 역사교과서는 형식과 내용 모두 교육적이어야 한다. 형식 면에서 국사를 선택과목으로 놓아두어서는 안 된다. 국어를 필수로 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일제 강점기의 역사왜곡과 우리말글 탄압을 떠올리면 역사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내용은 한 시대의 가치관을 반영하되 자신의 조국에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긍정의 역사관이 담겨야 한다.
그런 면에서 최근 국사 과목을 고교 교과과정에 필수과목으로 지정한 것은 잘한 일이다. 일본의 역사왜곡이나 중국의 동북공정을 생각하면 국민의 올바른 역사 인식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국토에 대한 수호의지도 역사 공부를 통해 강화될 수 있다. 앞으로 국사를 대입 또는 수능시험과 연계해 교육의 실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교원임용 등 각종 국가시험에 반영해 범국민적인 역사교육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남은 과제는 국사 교과서에 담을 내용이다. 기껏 필수과목으로 해놓고 엉뚱한 내용을 가르친다면 지정의 의미가 없어진다. 그런 면에서 집필진의 절반이 좌편향이라는 사실은 우려를 던져 주기에 충분하다. 국사 교과서 6종의 집필진 37명 중 전교조 교사거나 국가보안법 폐지를 주장하는 등 좌파 성향을 가진 교수가 46%에 이른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들은 대한민국 정부를 독재라고 표현한 횟수가 21회에 이르는 반면 세계사에 유례없는 세습독재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북한 정권에 대해서는 5회만 독재라고 기술했다.
이런 결과는 국사 교과서가 검정이기에 가능하다. 다양성을 추구한다는 명분으로 고등학교의 경우 2009년 개정 교육과정부터 검정으로 돌림으로써 집필진 구성을 출판사에 맡긴 꼴이 됐다. 좌파성향의 집필진은 자학적인 역사를 담고 이들이 기술한 책은 전교조 교사들이 채택하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 따라서 교과서 편향 논란을 근본적으로 바로잡으려면 국정으로 전환해야 한다. 비뚤어진 교과서는 잘못된 역사의식을 낳기에 국가가 집필을 책임지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