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립도서관 운영권 갈등… 울산, 교육청 지원 확대 요구에 자치구 “직접운영” 맞불
입력 2011-04-26 18:44
울산시교육청과 자치단체가 도서관 운영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고 있다.
시교육청이 도서관 소유권을 가진 자치구에 운영지원금 확대를 요구하며 불만을 공개적으로 토로하자 구는 아예 도서관 운영을 직접 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26일 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이번 사태는 김복만 교육감이 지난 17일 열린 간부회의에서 “남부·중부·동부도서관이 자치단체 재산이지만 시교육청에 위탁운영되고 있다”며 “충분한 운영비 지원이 안 되면 직원 철수 방안도 고려하라”고 말한 것이 발단이 됐다.
그러자 남구는 “교육청이 인력을 필요 이상으로 배치하는 등 방만하게 운영한 것이 도서관 운영 자금난의 원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남구는 구정조정위원회에서 총무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인수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도서관 인수작업에 들어갔다. 중구와 동구도 남구와 비슷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파문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교육청은 교육감의 발언이 와전돼 안타깝게 생각하지만 이른 시일내에 남구와 협의해 도서관을 이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현재 울산의 4개 공공도서관 가운데 울주 도서관의 소유권과 운영·관리권이 모두 시교육청에 있다. 반면 나머지 3개 도서관은 관할 구 재산이고 시교육청에 운영을 맡기고 있다. 이들 도서관에는 교육청 파견 직원 93명이 근무 중이다. 시교육청이 인건비 44억원을 포함한 77억6000만원(92.4%)을 부담해 운영하고 있고, 나머지 7.6%인 6억4000만원은 자치단체의 지원을 받고 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