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입 방사선량 극미”… “위험 가능성 ‘0’ 아니다”

입력 2011-04-26 18:04


한반도에서 방사능 피폭의 위험은 물론 건강상 영향에 대해서도 전문가의 평가는 엇갈린다. 낙관론과 비관론의 근거도 서로 접점이 없고, 각기 다른 측면만 본다.

정부와 산하 연구기관들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지금까지 국내에서 검출된 방사성 물질은 X선 1회 촬영 때 인체에 노출되는 방사선량의 1000분의 1에 불과하다며 국민 건강과 안전에 별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산업의학자와 예방의학자들은 매우 적은 양의 방사성 물질에 노출되더라도 수십년 후나 다음 세대에서 유전적 영향이나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미나 단국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지난 15일 한국환경독성보건학회가 개최한 포럼에서 “노출된 방사선이 극미량이라도 암이나 유전적 영향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질 뿐이지 0%가 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현재 국제적으로 적용되는 일반인의 연간피폭선량 한도는 1밀리시버트(mSv)다. 하 교수는 “의학적으로 아무 문제가 없어서 1mSv 이하라고 정한 것이 아니고 관리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준으로 잡은 것”이라며 “안전과 불안전의 경계가 아니라 사회적인 합의 수준”이라고 말했다.

1mSv는 일반인이 1년 동안 자연적으로 노출되는 방사선량이다. 현재 국내에서 검출되는 방사성 물질의 연간피폭량은 1mSv보다 훨씬 적어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서도 하 교수는 “1mSv는 1만분의 1에서 100만분의 1사이로 암과 유전적 영향 발생 확률을 갖는 수준”이라며 “우리나라 인구가 4800만명이므로 암이나 유전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국민은 최소 48명에서 최대 4800명”이라고 덧붙였다.

임종한 인하대 의대 산업의학과 교수는 25일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역학조사에서는 방사선이 연간 1mSv가 증가할 때 10만명당 암환자 38명이 추가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영향으로 국내 방사능 피폭선량이 연간 0.1mSv만 증가해도 의미 있는 수치”라고 밝혔다. 임 교수는 먹이사슬을 통한 생물학적 농축을 과소평가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체르노빌 인근 방사능 오염지역 식품이 인체 내에서 핵분열을 일으켜 어린이의 갑상선암 발병사례가 급증했다”면서 “전체 발암 사례 가운데 80∼90%는 식품에 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원전의 사고 위험을 포함한 위해성에 대해서도 평가는 엇갈린다. 세계 31개국에서 가동되는 원자로 439기 안에 든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인 핵연료 가운데 단 한 기도 아직 영구처분장으로 가지 않았다. 체르노빌 원전에는 직원들이 아직도 묻혀 있는 핵연료 폐기물을 관리하기 위해 남아 있다.

노무현 정부 당시 환경부는 수요측면에서 원자력발전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평가했다. 이 작업에 참여했던 고려대 조용성 교수는 “발전단가에 주민보상비와 수명이 다한 원전의 폐로비용 등을 계산하면 원자력발전은 다른 에너지보다 싸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원전을 계획대로 확대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국민의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임항 환경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