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재보선] 다시 뭉친 양대 노총… “재보선 ‘親勞후보’ 지지”
입력 2011-04-25 21:28
양대 노총이 4·27 재보선에서 사실상 한나라당 낙선운동을 펼치겠다는 내용의 공동투쟁을 선언했다. 정부는 “노조의 정치투쟁은 용납할 수 없다”며 엄단 의지를 밝혀 노정 갈등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25일 현 정권의 국정기조 전환과 노동조합법 전면 재개정 등을 요구하는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과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은 “4·27 재보선에서 친 근로자 정당을 지지하는 등 강력한 공동 투쟁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양대 노총은 공동 시국선언문에서 “현 정권은 민생불안, 민주주의 후퇴에 대해 국민 앞에 사과하고 친재벌 정책 기조를 친서민·친노동자 정책으로 즉각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노조법 전면 재개정, 비정규직 관련법과 근로기준법 개악 시도 중단 등을 요구했다.
특히 “정부와 여당의 태도가 변하지 않는다면 현 정부와 모든 대화를 중단하고 뜻을 함께하는 시민사회단체 및 정치세력과 4·27 재보선에서 반노동자 정당을 심판하는 등 총력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양대 노총은 대통령의 사과와 함께 고용노동부 장관을 비롯한 내각 사퇴, 친서민(노동) 정책 전환 등을 요구했다. 대정부·여당 투쟁을 내걸면서 재·보궐 선거 등 향후 정치 일정과 연계해 타임오프·복수노조 창구단일화 폐지 등 노조법 재개정을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이다. 선거 정국이 끝난 뒤 노동절(5월 1일)이 곧바로 이어지는 것도 노동계는 투쟁 역량을 높여 노정관계의 주도권을 쥘 수 있는 호기로 여기고 있다.
이에 대해 박재완 고용노동부 장관은 정부과천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오늘 시국선언은 노동운동이 아니라 정치 투쟁의 일환이며 철 지난 이벤트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박 장관은 “오늘 시국선언의 시기와 내용을 보면 복선이 깔린 고도의 전술로 판단된다”며 “대다수 현장 근로자들의 절실한 민생 문제가 아니라 일부 노조간부들의 기득권을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