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아닌 스파이폰”… 美수사당국 위치정보 수집·활용에 비난 쇄도

입력 2011-04-24 21:59

애플과 구글이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미국 수사기관은 지난해부터 수사에 활용해 온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커지고 있다.

미국 일간 새너제이 머큐리뉴스는 22일(현지시간) “수사 관계자들은 지난해부터 아이폰에 위치 추적 파일이 숨겨져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이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해 왔다”고 수사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마셜대 범죄과학센터의 디지털 수사 전문가인 크리스토퍼 밴스는 “아이폰에서는 사용자의 전화 기록과 이동정보 등을 모두 추출할 수 있다”며 “아이폰을 통한 위치 추적은 기본적인 수사항목이 됐다”고 말했다.

카타나 과학수사팀의 최고경영자(CEO) 션 모리세이도 “지난해 초 운영체계(OS) iOS3으로 구동되는 애플 기기들이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록한다는 것을 발견했다”며 “지난해 여름에 처음 선보인 iOS4는 추적이 더 쉽도록 고안돼 있다”고 전했다. 이 회사 모바일 과학수사 담당 리 라이버 이사는 “애플뿐 아니라 구글 안드로이드폰에서도 사용자 위치정보가 제공되고 있다”면서 “특히 이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경우 정보 수집은 더 용이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독일과 이탈리아 정부가 23일 조사에 착수했고, 프랑스도 이번 주 초 애플에 공식 해명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국 정부도 방송통신위원회를 통해 애플 코리아에 질의서를 전달해 해명을 요구했으며, 대만 타이베이시 정부도 애플 대만지사에 해명 요청서를 전달했다.

당사국인 미국 정부도 조사에 착수했다. 미 연방통신위원회(FCC)와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이 문제를 조사하고 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시민단체들도 애플 등을 강하게 비난하고 있다. 사생활 보호를 위한 감시단체의 존 심슨 국장은 “스마트폰이 아니라 스파이폰”이라면서 “소비자들은 그들의 정보가 어떻게 수집되고, 활용되는지 알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디지털 민주센터’ 소속인 제프 제스터는 “애플은 다양한 범위에서 모바일 감시가 이뤄지고 있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것”이라며 “혹 모른다고 해도 공범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미국 의원들도 아이폰의 위치정보 저장 사실에 대해 애플에 해명을 요구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양지선 기자 dyb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