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애플에 “위치정보 저장 해명하라”
입력 2011-04-22 21:24
방송통신위원회는 애플의 스마트폰인 아이폰에 사용자도 모르게 위치정보가 저장된다는 주장과 관련해 애플 코리아에 해명을 요청했다고 22일 밝혔다.
방통위 네트워크정책국 관계자는 “아이폰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는 주장이 나온 것을 보고 애플 코리아에 해당 기능이 ‘위치정보법’을 위반하는지 해명하고 보도되고 있는 내용에 대한 입장을 설명해 달라고 전날 구두로 전했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애플이 어떤 의도로 위치정보가 아이폰에 저장되도록 했는지 등을 알아보고, 위법 사항이 드러날 경우 적절한 조치를 마련할 방침이다.
한편 애플뿐 아니라 구글도 스마트폰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인터넷판에서 보도했다.
WSJ 보도에 따르면 구글의 안드로이드가 탑재된 스마트폰은 매 초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해 시간 당 수차례 이상 위치정보를 구글에 전송했다. 전송된 정보에는 이름, 지역, 와이파이 네트워크 신호 등이 포함돼 있었다.
앞서 구글은 정확한 트래픽(사용량) 정보 파악을 위해 일부 데이터를 사용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수집된 와이파이 데이터가 익명으로 사용됐다고 밝힌 구글의 주장과 달리 개별 휴대전화와 연관된 아이덴티파이어(데이터 항목을 식별하고 데이터 성질 표시를 위해 사용되는 고유한 문자의 집합)도 발견됐다고 WSJ는 보도했다.
이에 따라 모든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유출돼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는 내비게이션 등 위치정보 서비스를 이용하는 한 피할 수 없는 부작용일 수도 있다. 그러나 해커들이 손쉽게 개인정보를 유출해 악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일 전망이다.
권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