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이 日 통일지방선거 향방 가른다

입력 2011-04-22 18:08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영향으로 원전이 24일 일본 통일지방선거의 쟁점으로 떠올랐다. 원전이 위치한 지자체마다 원전의 처리를 놓고 후보 간 각축전이 한창이다. 특히 원전 추진을 찬성해 온 민주당이나 자민당과 달리 이를 반대해 온 무소속과 사민당 등의 목소리가 크다.

가시와사키가리와(柏崎刈羽) 원전이 위치한 니가타(新潟)현 가시와사키에는 시의회 의원 선거를 앞두고 ‘원전과의 공생’ 또는 ‘원전 탈피’에 대해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현지 언론이 22일 전했다.

가시와사키가리와 원전은 원자로 7기로 출력 규모면에서 세계 최대다. 원전 반대파는 “그동안 원전 추진파가 주류였기 때문에 원전을 대신할 에너지 개발이 늦어졌다”면서 지지를 호소했다.

이에 대해 원전 추진파는 원자로의 증설은 포기하되 기존의 원자로에 대해서는 안전대책을 철저히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원전 추진파인 현직 의원은 “원전 없는 생활과 실업 가운데 어떤 것이 더 불안한가”라고 되물었다.

쓰루가(敦賀) 원전과 고속증식로 몬주(文珠)가 있는 후쿠이(福井)현 쓰루가시 시장 선거에서도 원전 증설이 쟁점이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쓰루가 1호기가 2016년 운전을 마치면 쓰루가 원전 운영사인 일본원자력발전은 원자로 2기를 증설할 계획이다. 증설에 따른 지역 경제효과는 약 1200억엔(1조3000억원)으로 추산된다.

5선에 도전하는 현직 시장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며 증설에 찬성하지만 다른 후보들은 “원전 안전 신화는 붕괴됐다”며 증설을 반대하고 있다. 주민들의 마음은 복잡하다. 원전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있지만 원전을 증설하지 않으면 지역 경제가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원전 반대파는 “이제라도 원전에 의존하지 않는 강한 지역 경제를 만들자”며 주민들을 설득하고 있다.

시가(滋賀) 원전이 있는 시가현 시가초와 원전을 새로 유치할 계획이었던 미야자키(宮崎)현 구시마(串間)시 등도 원전 문제가 선거의 향방을 가를 전망이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