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재보선] ‘투표일 탄력 출근제’ 신경전

입력 2011-04-21 18:22

여야는 21일 4·27 재보선 당일 출근 시간을 늦추거나 휴가를 주는 ‘탄력 출근제’ 도입 문제를 두고 신경전을 벌였다. 민주당은 젊은층의 투표율을 올리기 위해 정·재계에 출근시간 조정 등을 요구했고, 한나라당은 이에 반발했다.

민주당 김진표, 유선호 의원 등은 중소기업중앙회 송재희 상근부회장, 전국경영자연합회 정병철 상근부회장, 한국경영자총협회 김영배 상임부회장 등을 차례로 면담하고 되도록 많은 근로자가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출퇴근 시간 조정을 배려해달라고 요청했다. 재계 인사들은 “직원들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최대한 편의를 도모하겠다”고 답했다.

민주당이 경제단체까지 찾아가 투표율 올리기에 안간힘을 쓰는 이유는 직장을 다니는 30∼40대 층의 투표 참여 여부가 이번 선거 승패를 좌우할 핵심 변수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한나라당 강재섭 후보와 민주당 손학규 후보가 치열한 접전을 벌이고 있는 경기도 성남 분당을 지역은 연령대가 낮은 유권자일수록 손 후보 지지율이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어 민주당으로는 더더욱 투표율에 목을 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앞서 국회 행정안전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지난 18일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으로부터 재보선 지역 공무원들의 탄력 출근제를 약속받기도 했다.

한나라당은 이런 민주당 움직임을 강력 성토했다. 김무성 원내대표는 “정치에 경제를 끌어들이면 안 된다”며 “이 문제는 선거관리위원회가 할 일이지 선거에 출마하는 정당이 할 일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안형환 대변인도 “정치인이 경제단체에 떼로 몰려가 근무시간 조정을 요구하는 행동은 동기의 불순성이 의심되는 정치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투표율 상승이 선거에 미칠 영향에는 상당히 신경을 쓰는 분위기다. 당 관계자는 “최근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30∼40대를 중심으로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글이 많이 올라오고 있다”며 “사실 여당에 득이 되는 상황은 아니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여권 핵심 관계자도 “선거 당일 젊은층 투표율이 당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특히 30∼40대 투표율이 높아지면 여당에 불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호경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