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이에 요이치 前 일본 원자력에너지위원장 간담회 “원전, 이제는 ‘사고 관리’ 개념 적극 도입해야”

입력 2011-04-20 19:28

“원자력발전소를 새로 지을 경우 들어가는 비용이나 시간 등을 감안한다면 안전성을 전제로 원전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국민들의 양해를 얻어야 한다는 거죠.”

후지이에 요이치(76) 전 일본 원자력에너지위원장은 20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안전하게 더 사용할 수 있는데도 사용연한이 다 됐다고 원전을 폐기하는 것은 문제”라며 “안전하다는 조건만 충족된다면 연장하는 것이 더 낫다”고 말했다. 히로시마대 고문을 맡고 있는 후지이에 전 위원장은 18∼19일 대전 카이스트에서 열린 한·일 원자력 전문가 회의 참석차 방한했다. 그는 최근의 고리 1호기 수명 연장 논란에 대해 “한국적 상황을 고려해 결정돼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원전을 민간기업이 운영할 경우 비용 등 문제로 안전설비 투자가 소홀해지기 때문에 정부가 운영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그는 단호하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한다고 해서 꼭 성공한다는 보장이 없다. 민간이 유연성을 갖고 하면서, 안전에 대해서는 정부가 개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관련해 사고 이후 다른 나라들과 정보 교류가 잘 안 됐다는 지적에 대해 후지이에 전 위원장은 “일본도 사고 발생 후 원전 내부 상황에 대해 아는 것이 많지 않았다. 일본도 정보가 부족한 것이지 다른 나라에 감추려는 의도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로 방류하면서 한국에 알리지 않은 이유를 묻자 그는 “아마 오염 정도가 높지 않아서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알리지 않았을 것으로 짐작한다”고 답했다.

그는 또 “지금까지 원전 안전은 어떻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지에 초점을 맞췄지만, 이제 사고가 발생했을 때 그 영향을 줄이는 ‘사고 관리(Accident Management)’ 개념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후쿠시마 사고의 경우 완전 수습까지 10년 정도가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