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전 안전 저해 요인 확실히 제거하길
입력 2011-04-20 17:39
고리 원전에서 잇따라 고장, 사고가 발생해 국민들을 불안케 하고 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온 국민이 가슴을 졸이고 있는 가운데 고리 원전 1·3·4호기가 고장을 일으켜 국내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고리 원전 1호기가 전력 차단기 고장으로 10일째 가동이 중단된 데 이어 19일에는 3·4호기에 전원 공급이 일시 중단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3호기 전기설비를 점검하던 기술자가 고압전선을 건드리는 바람에 접지현상이 생기면서 전원공급차단기가 열려 3호기와 4호기 일부 설비에 전원공급이 끊겼다”고 말했다.
3호기는 설비 점검을 위해 가동을 중단한 상태였고, 4호기는 외부 전원 공급이 재개되기 전에 비상발전기가 가동돼 발전 중단 사태를 빚지는 않았다. 하지만 3·4호기의 경우 하나의 전력선을 사용하도록 설계된 것이 큰 문제로 지적됐다. 한쪽 전기설비가 고장 나면 멀쩡한 다른 쪽도 전원 공급이 끊기도록 돼 있는 것이다. 안전을 도외시한 설계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고리 원전에 설치된 비상발전기 2대가 모두 1층에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예기치 못한 정전에 대비해 전기를 공급해야 하는 비상발전기는 원전 안전을 위해 필수적인 설비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도 비상발전기가 물에 잠겨 냉각수를 돌리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적어도 비상발전기 1대는 현재보다 높은 곳으로 옮겨 침수 등 돌발 상황에 대처해야 한다는 전문가 주장에 일리가 있다.
정부와 한수원, 원자력안전기술원 등은 국내 원전들이 기존 설계요건에 맞는지만 점검하지 말고 강진과 쓰나미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서둘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는 지진, 해일 등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벌이는 국내 원전 점검결과를 토대로 특단의 보완조치를 취하기 바란다. 또 대통령 소속 행정기관으로 출범할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중심으로 종합적인 안전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는 우를 범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