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잇단 인권중시 고용정책 훈훈

입력 2011-04-19 18:56

‘인권도시’를 추구하는 광주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이 근로자들의 인권을 중시하는 고용정책을 잇따라 선보였다.

19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2월 시청사관리를 위탁받은 민간 용역업체로부터 근로자들의 ‘정규직화’가 이뤄진데 이어 7월부터 사무보조·주차단속·녹지관리·도로정비 등 일용 직원들의 공휴일이 유급으로 전환됐다. 시는 행정기관의 무기계약직·기간제 근로자들이 정규직과 달리 명절·휴일·휴가 등을 무급으로 지내야 했던 상대적 박탈감을 덜어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와 사업소 공사 공단 등에 근무하는 487명은 14일 안팎의 법정 공휴일이 유급으로 전환돼 연간 50여만원의 급여를 더 받을 수 있게 됐다. 시는 올해 하반기부터 관련규정을 고쳐 공휴일 유급제를 시행하고 내년에는 예산 2억4000만원을 추가로 확보, 일급제를 월급제로 대체하기로 했다.

강운태 광주시장은 “일반 공무원들은 유급 휴가를 가지만 일용 근로자들은 이런 혜택을 받지 못했다”며 “작은 차이일지라도 사기진작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시는 앞서 2월10일부터 교체된 시청사 관리 민간위탁 용역업체 5개사와 근로자 64명 전원의 고용승계를 약속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 같은 조치가 취해진 것은 전국 공공기관 가운데 처음이다.

고용 승계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용역업체의 고유 권한이지만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기존 근로자들을 계속해 고용하는 업체가 용역계약을 맡을 수 있도록 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시청사 용역업체 종사자는 청소관리 31명, 시설관리 21명, 주차안내 5명, 민원안내 5명, 조경관리 2명 등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