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회동, 새 관치금융 채널되나

입력 2011-04-18 18:50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18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과 농협 전산장애 사태 등 코앞에 닥친 금융 현안을 풀기 위해 마련한 대책회의 방식이 새삼 눈길을 끈다. 이른바 ‘5+2 회동’이다.

여느 때 같으면 이처럼 사안의 중대성이 클 경우 대다수 국책 및 민간 금융기관장들을 참석시킬 법하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행시 동기인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을 대동한 채 5대 금융지주 회장들만 은행회관으로 불렀다.

김 위원장은 이들 5대 지주회장 동의만 구하면 현안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인다. 또 실제로 이들 회장으로부터 PF 부실 해결에 협조하겠다는 답변을 얻어내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처럼 소수만 모이는 ‘5+2’ 방식이 앞으로도 현안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금융 부문에서 금융지주회사가 갖는 중요성을 감안해 앞으로도 현안 발생 시 의견을 나누는 기회를 갖기로 했다”고 이를 확인했다.

김 위원장의 금융지주 회장 동원 방식은 그가 취임한 지난 1월 3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때도 KB·하나·우리·신한 등 4개 금융 회장을 만나 저축은행 해결을 약속받았다. 이어 지난달 10일에는 당시 강만수 국가경쟁력강화위원장 겸 대통령 경제특보를 산은지주 회장으로 제청하면서 이 같은 방식을 예고했다. 그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거물들을 모시고 (정책을) 하면 나도 거물이 된다”면서 금융지주 회장들과의 현안 해결을 강조했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그러나 “5대 지주 회장들 가운데 한동우 신한지주 회장을 제외한 나머지 4명이 대통령과 가까운 실세들인데 금융위원장의 요구사항을 들어주지 않을 이유가 없을 것”이라며 “김 위원장이 너무 쉽게 현안을 풀어가려 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관치금융의 손쉬운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우려다.

이동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