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악몽 또 오나” 지자체, 방역 비상
입력 2011-04-18 18:42
경북 영천에서 구제역이 재발하면서 지방자치단체와 축산농가에 다시 비상이 걸렸다.
구제역 방역초소를 재설치하는가 하면 가축 입식을 제한하는 등 구제역 확산을 막는 데 안간힘을 쏟고 있다.
18일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영천시는 구제역이 재발한 금호읍 황정리 일대에 방역초소 8곳을 설치하고, 구제역 발생농가에서 3㎞ 이내 양돈농가 5곳에 사육 중인 6600마리의 돼지에 예방백신을 접종하기로 했다. 시는 또 구제역 재발농가에 대해 이동제한 조치를 취한 뒤 구제역 감염돼지 6마리를 살처분했다.
충남도는 영천 구제역 발생 직후 16개 시·군과 관련기관에 구제역 상황을 전파하고, 축산농가에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철저한 소독과 방역활동을 당부했다. 도는 가축을 부분 매몰한 281개 농장에 대한 긴급 예찰활동을 벌였고 새로 태어나는 가축들에게는 백신접종을 실시했다. 도는 또 과거 구제역이 발생한 농가를 중심으로 가축분뇨 처리 실태를 점검키로 했다.
전남도는 농가단위의 차단방역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축산농가들에 매일 한 차례 이상의 자율소독을 실시하도록 권고했다. 특히 농장을 출입하는 사람과 차량 등은 반드시 소독을 거친 뒤 통과하도록 했다. 가축의 입식과 출하는 물론 소독 추진실태에 대한 방역기록을 의무화하도록 했다.
사육두수가 10마리 이하인 농가에 대해서는 590개의 공동방제단을 동원해 매주 수요일 일제 방역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도는 근본적인 가축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자연 면역력을 높일 수 있도록 사육밀도 준수와 운동장 확보 등 친환경녹색축산을 적극 실천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전북도는 구제역 발생지역 인근 농가에서 소와 돼지 등을 입식하지 않도록 농가 지도에 나섰다. 도는 이날 ‘구제역 의심 가축이 발생하면 즉시 상황실로 신고해 달라’는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각 농가에 보냈다.
한편 농림수산식품부는 구제역 예방백신을 접종했더라도 완벽하게 발병을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출입차량 소독 등 철저한 방역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백신 접종을 해도 구제역이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새끼돼지 중에는 어미로부터 항체를 받지 못하고 태어나는 사례도 있다.
농식품부 이상길 식품산업정책실장은 “백신을 접종할 때 소·돼지 등 가축 개체별로 일일이 분만 시기 등을 고려해서 접종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취약점이 있다”며 “백신 자체로도 완벽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전국종합=김재산 기자, 김찬희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