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방중 임박… 4월말∼5월초 예상
입력 2011-04-19 01:31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후계자 김정은의 단독 방중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제기되면서 우리 당국과 대북 전문가들의 움직임도 분주해지고 있다.
정부 소식통은 18일 “북한과 중국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는 측면이 있어 (김정은이) 당장 내일 중국을 방문하더라도 이상할 것은 없다”면서도 “구체적인 시점은 예측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대북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방중 시점은 4월 말에서 5월 초다. 최고인민회의(7일), 김일성 주석 생일(15일), 인민군 창건일(25일) 등 주요 내부 일정을 마무리하고 다음달 1일 노동절 전후에 단행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중국 역시 지난 12~14일 브릭스(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정상회담과 14~16일 보아오 포럼 등 주요 일정이 정리됐고, 노동절 휴일을 마치면 이렇다 할 큰 행사는 없다.
김흥규 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북한 당국은 김정은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9명 모두를 만날 수 있도록 협의를 진행하고 있을 것”이라며 “북한 내부 일정보다는 중국 지도부의 향후 동선이 시기를 결정하는 핵심 포인트”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일각에선 방중 속도조절론도 제기하고 있다. 당초 김정은이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국방위원회 고위직에 이름을 올릴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으나 빗나갔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의 건강이 호전되면서 권력 이양에 속도조절을 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편 원세훈 국가정보원장은 “북한을 방문했던 중국 고위 인사들이 구두로 김정은을 초청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원 원장은 이날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에 출석, “중국이 김정은을 공식 초청한 것이 맞느냐”는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고 정보위 간사인 민주당 최재성 의원이 전했다. 원 원장은 그러나 김정은의 방중 시기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북한의 식량 사정과 관련, “북한은 식량 공급 통제를 강화하는 한편 지난 1월 이후 북한 내 전 세대와 기관, 기업소 등을 대상으로 ‘군량미 헌납운동’을 전개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도경 한장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