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재보선] ‘투표율·박근혜’ 변수에 촉각
입력 2011-04-17 18:16
4·27 재보선이 다가오면서 여야가 남은 변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박빙의 선거에서 전체 판세를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투표율과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의 선거 지원 여부, 야권 단일화의 실제 효과 등이 변수로 꼽힌다.
◇투표율과 부동층=중앙선관위는 이번 재보선 투표율이 40% 안팎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선거가 내년 총선과 대선의 전초전 성격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역대 재보선 투표율(35% 전후)보다 상향 조정한 것이다. 특히 야권연대로 여야 간 ‘1대 1 대결’ 구도가 형성돼 정권심판의 성격을 띠게 된 점도 유권자들을 투표장으로 불러내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투표율이 올라간다는 건 진보성향으로 분류되는 20∼40대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가 많아진다는 의미로, 일단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에 유리하다는 게 정치권의 일반적인 분석이다. 세대별 지지도 편차가 뚜렷한 상황에서 이들의 투표 여부는 당락을 좌우할 수 있다. 그러나 선거일이 휴일이 아니어서 대부분 직장생활을 하는 젊은층이 얼마나 투표소에 갈지는 의문이다.
부동층 향배도 주목된다. 경기도 성남 분당을 17.4%(경인일보 경기방송 OBS 공동·13∼14일), 강원도 30.4%(폴리뉴스 한길리서처 공동·13∼14일), 경남 김해을 15.7%(동아일보·12일) 등으로 부동층이 조사되고 있다. 오차범위 내 선거구에서 당락을 뒤집을 수 있는 수치다.
◇박근혜 지원 여부=‘선거의 여왕’ 박 전 대표가 지원에 나선다면 판세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부동층을 흡수하는 한편 보수층을 결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박 전 대표는 지원 유세에 나서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도 17일 “선거에서 직접 유세를 한다든지 하는 것은 당 지도부가 중심이 돼야 한다는 게 박 전 대표의 기본 입장”이라며 “박 전 대표의 강원도 방문 여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선거 지원을 요청하는 당내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어 막판에 박 전 대표가 움직일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박 전 대표가 당 평창동계올림픽유치특위 고문을 맡은 상태라서 강원지사 선거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다. 최근 박 전 대표가 이명박 대통령의 특사 제안을 수용한 것도 여권 지지층에 의미심장한 신호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야권 단일화 효과는?=야권은 선거운동도 공동으로 진행하면서 단일화 시너지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아직 후보를 정하지 못한 부동층에게 ‘지지 유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선거구별 내부 사정으로 단일화에 따른 각 당의 화학적 결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분당을에서는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의 지원 제안에 민주당 측이 사실상 거절 의사를 표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유시민 역효과’를 우려한 때문이다. 단일화 협상이 치열하게 벌어졌던 김해을에서도 후보를 뺏긴 민주당 조직이 움직이지 않고 있다는 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