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와 관련, 전산망에 접근 가능한 20여명의 신원을 파악해 이들의 휴대전화 통화 내역을 확인 중이다.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부장검사 김영대)는 15일 농협중앙회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농협 직원 및 서버 관리를 맡은 외부 협력업체 직원 등 20여명의 휴대전화를 모두 수거해 이들이 사고가 발생한 지난 12일을 전후해 누구와 통화했는지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들의 통화 내역 가운데 의심할 만한 부분이 발견되면 해당 직원을 직접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또 농협 전산망 공격의 통로로 활용된 노트북 컴퓨터 소유자인 협력업체 IBM사 직원을 이번 주말 우선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문제의 노트북을 컴퓨터 전문 수사관에게 맡겨 전산망 공격 과정을 복원하는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검찰은 농협 서버가 위치한 서울 양재동 농협전산센터 내 사무실과 복도 등의 CCTV 화면을 확보해 사고 시점 전후 직원들의 의심스러운 행적이 있는지 면밀히 분석하고 있다. 검찰은 이번 사태가 금전적 이익을 노린 해킹이나 직원의 실수, 또는 회사 내부 사정에 따른 고의적 자료삭제 등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 중이다. 검찰은 최소한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의 책임소재는 분명히 가린다는 방침이다.
한국은행은 이날 임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농협에 대한 공동검사권 발동 안건을 의결했다. 한은은 금융안정분석국과 금융결제국, 전산정보국으로 검사팀을 구성해 금융감독원과 함께 18일부터 공동검사를 실시한다. 검사 기간은 1주일가량 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이 임시 금통위를 열어 공동검사 형식으로 개별조사에 나서는 것은 은행권에서 점포가 가장 많은 농협의 전산 사고가 그만큼 중대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실제 농협 전산 사고가 발생한 12일 한은 전산망의 마감이 1시간40분가량 늦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금융위원회는 현대캐피탈 해킹 사고를 계기로 지난 11일부터 전 금융사를 대상으로 보안점검을 위한 서면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정보기술(IT) 보안 실태에 대한 정밀 점검을 바탕으로 향후 고객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근본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농협에 따르면 사고 발생 나흘째인 이날까지도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이용한 현금이체 서비스 등 일부 카드 서비스가 불안정한 상태다. 농협 관계자는 “(카드를 이용한) 자동화기기 현금 입출금은 전부 되지만 농협 또는 타행에 이체하는 서비스는 잘 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용훈 강준구 기자 cool@kmib.co.kr
檢, 농협 전산망 관련 20여명 조사
입력 2011-04-15 1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