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교 이후 최대 위기를 맞은 카이스트(KAIST)가 혁신비상위원회 구성에 착수하는 등 사태 수습에 나섰다.
하지만 곳곳에 ‘지뢰밭’이 놓여 원만한 수습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서남표 총장과 교수, 학생들은 현행 카이스트 개혁정책에 대해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오전 2시간 동안 비공개로 열린 교수협의회 총회에서도 일부 교수들은 서 총장의 즉각 퇴진을 주장했다. 이들은 경종민 교수협의회장의 리더십까지 문제 삼고 있어 새로운 불씨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경 회장이 너무 서 총장에게 유화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총회에서 교수들은 심각한 노선 차이로 논쟁을 벌였고, 15일 자정까지 구성키로 한 5명의 혁신위 위원 인선도 하지 못한 채 운영위원회에 인선권을 넘겼다.
서 총장과 교수, 학생 대표 등 모두 13명으로 구성되는 혁신위는 이르면 18일부터 개혁 정책 전반에 관한 모든 사항을 논의할 예정이다.
교수 측은 동료 교수 및 잇단 학생 자살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징벌적 수업료’ 부과 문제와 연구비 관리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다는 방침이다. 대학원생 등록금 문제와 이번 사태에서 침묵으로 일관한 노조 등 서 총장에게 편향적인 모습을 보인 직원들의 행태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서 총장의 거취 문제는 논의에서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지난 13일 열린 비상총회에서 결의된 대학 정책 결정과정 참여, 총장 선출 시 학생 투표권 보장, 재수강 횟수제한 폐지, 전면 영어강의 방침 개정 등을 주요 안건으로 상정할 계획이다.
대학원생도 소통을 위한 위원회 구성이나 연차초과제도, 기성회비 부과에 대해서는 반드시 안건으로 올린다는 방침이다. 안상현 대학원 총학생회장은 “학생들 차원에서 혁신위에서 논의하는 것들은 최근 도마 위에 오른 서남표식 학사제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카이스트는 지난 12일 발표 5시간 만에 백지화해 혼선을 빚었던 학사운영 개선안을 15일 열리는 이사회에 보고하기로 했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
◎ 관련기사 보기
[위기의 KAIST] 혁신위, 카이스트 사태 수습할까… 서 총장 거취는 논의서 제외할 듯
입력 2011-04-14 1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