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초 소폭 개각… 농림·환경 등 3∼4개 부처 거론

입력 2011-04-14 22:06
이명박 대통령이 다음달 초 3∼4개 부처 장관을 바꾸는 소폭 개각을 검토 중인 것으로 14일 알려졌다. 개각 대상자로는 구제역 사태 당시 사의를 표시했던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 우선적으로 거론되며, 현 정부 출범 때부터 장관직을 지내온 이만의 환경부 장관,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도 교체 대상으로 꼽힌다. 임기가 2년을 넘긴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도 개각 대상에 오르내린다. 이 대통령은 ‘분위기 쇄신용 개각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으나, 최근 개각 수요가 많이 쌓였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찬반 의견이 엇갈린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1일 신년방송좌담회에서 “북한이 싫어하는 사람도 있어야 한다”고 사실상 현 장관 유임의사를 피력했다. 그러나 대북정책의 점진적 변화를 위해서는 교체해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개각 수요가 늘고 4·27 재보선 결과에 따른 당·정·청 전면 개편 전망이 나오면서 청와대 핵심 참모들에 대한 하마평도 무성해지고 있다. 지난해 7월 임명된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한나라당 대표, 경기도지사 후보 하마평이 나돈다.

이번 재보선 이후 한나라당이 전당대회를 열게 될 경우, 임 실장이 유력한 당 대표 후보라는 논리다. 김문수 경기지사가 2012년 대선을 위해 경기지사직을 사퇴할 경우 임 실장이 경기지사 후보로 가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많다.

백용호 정책실장도 기획재정부 장관과 후임 대통령실장 등에 거론된다. 윤 장관을 그만두게 하면, 이 대통령의 경제정책을 꿰뚫고 있는 백 실장이 유력한 대안이라는 평가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백 실장 본인은 이명박 정부 마지막 대통령실장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전했다.

내년 총선 출마가 확실한 정진석 정무수석은 사임 시점이 관건이라고 한다. 권재진 민정수석은 법무부 장관에 거론된다. 김준규 검찰총장 임기가 8월에 만료되는 만큼 그 이전에 법무부 장관, 민정수석, 검찰총장 등 사정 라인 개편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정부 핵심 관계자는 “사정 라인을 교체해야 하지만, 가장 큰 변수는 출신 지역”이라며 “TK(대구·경북) 출신만으로 채우기는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이처럼 청와대 핵심 참모들이 장관 등 주요직 후보자로 거론되면서, 청와대 분위기가 어수선하다는 지적도 있다. 여권 관계자는 “청와대 참모들이 자신의 거취 문제에 신경 쓰다 보면 대통령 보좌가 제대로 되겠느냐”고 반문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