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표 카이스트(KAIST) 총장이 13일 교수협의회가 요구한 혁신비상위원회 구성을 전격 수용, 카이스트 사태가 수습국면으로 접어들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경쟁과 효율을 강조한 ‘서남표식 카이스트’ 개혁안은 교수와 학생들로 구성된 혁신위에서 철저히 검증받게 됐다. 카이스트는 15일까지 모두 13명으로 혁신위를 구성, 3개월간 학교 전반에 관한 모든 사항을 논의해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위원장은 평교수 대표가 맡고 토론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지만 필요한 경우 투표를 통해 과반수의 의사를 따르기로 했다. 서 총장과 학교 측은 혁신위가 채택한 최종 보고서를 반드시 수용하고 즉시 실행해야 한다.
이 때문에 교수협의회의 요구사항을 서 총장이 수용하면서 사태가 진정국면에 접어드는 것 아니냐는 낙관론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혁신위 활동에 대한 시각차가 커 혁신위가 순항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서 총장은 “어떤 결론이 나올지 모르겠지만 학교가 나아가야 할 전체적인 방향에서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해 혁신위 활동이 서남표식 개혁을 크게 후퇴시키지 않을 것으로 기대했다.
반면 경종민 교수협의회장은 “혁신위는 학교 전반에 관한 모든 부분을 논의할 것”이라며 “기존 방향과는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학생들 사이에서도 부정적인 여론이 적지 않다. 한 학생은 “학교 안팎에서 사퇴 압박을 받아오던 서 총장이 이를 피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수용한 것이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학교 측은 지난 12일 오후 7시쯤 학사 운영 및 교육 개선안을 학교 게시판에 올렸다가 자정 무렵 전면 백지화했다. 개선안에는 전 학부생에게 실시해 온 영어강의를 전공과목에 대해서만 적용해 학업 부담을 20% 경감하고, 첫 2학기 동안 학사경고를 면제해 준다는 내용 등이 담겨 있었다.
황일송 기자, 대전=이종구 기자 ilsong@kmib.co.kr
[위기의 KAIST] 혁신위 활동 순항할까… 개선안 백지화 전례, ‘해법’ 내놓을지는 미지수
입력 2011-04-14 0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