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KAIST] 카이스트, 1995년·2003년에도 유사 사태 있었다

입력 2011-04-12 18:16
카이스트(KAIST)에서는 지난 10년간 학생 자살 사건이 끊이지 않았다. 연쇄자살은 1995년과 2003년에도 있었다.

12일 카이스트가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김유정(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1년부터 올해까지 학생들의 자살 건수는 2001년 2명, 2003년 4명, 2009년 2명 등이었다. 2004년과 2006, 2008, 2010년에도 각각 1명씩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2003년에는 6∼12월 학생 4명이 두 달 간격으로 기숙사 옥상이나 아파트에서 몸을 던져 숨지는 등 올해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특히 그 해 12월 자살한 학생은 과학고 출신으로 카이스트에서 석사과정까지 마친 뒤 박사 8년차였다. 그는 “전공을 잘못 선택했다”며 학내 연구실에서 음독했다.

1995년 8월에는 박사과정 4년차 학생이 학위시험 성적 문제로 고민하다 목을 매 숨졌다. 이듬해 3월에는 만 15세로 최연소 입학해 화제를 모았던 학부 3학년생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결국 자살을 택하는 등 95년 2학기와 96년 1학기에 학부생과 대학원생 4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자살 사건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카이스트에서 최근 교내 상담센터를 찾은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은 ‘진로·학업 문제’였다.

카이스트 자료에 따르면 2006년 이후 학내 상담센터를 찾는 학생은 2006년 966명에서 지난해 2452명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상담 이유는 ‘진로·학업문제’가 가장 많았다. ‘진로·학업문제’로 상담을 받은 학생은 서남표 총장이 취임한 2006년에는 19%였으나 지난해 37%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특히 징벌적 등록금제도가 도입된 2008년부터 진로·학업문제로 상담을 요청한 학생의 비율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성적이나 진로 문제로 고민이 많은 학생에게 서 총장 취임 후 바뀐 카이스트의 경쟁 위주 정책이 심리적 압박을 심화시켰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징벌적 등록금제도로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1919명이 46억여원을 등록금 등으로 납부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