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금리형 대출로 DTI 우대 받으세요

입력 2011-04-12 17:42

‘3·22 주택거래 활성화 대책’ 이후 시중은행들이 새로운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내놓고 있다. 총부채상환비율(DTI)이 확대 적용되는 대출방식은 고정금리형과 비거치식(첫 달부터 원리금을 내는 방식), 분할상환 방식이다. 최근 몇 년간 부동산 침체기가 지속되자 주택을 투자대상으로 봤던 인식이 점차 바뀌고 원리금 상환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되면서 다양한 대출 상품이 속속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 상품 경쟁 ‘START’=이달부터 실수요자가 고정금리·비거치식·분할상환대출을 모두 활용할 경우 DTI 비율을 최대 15%포인트까지 늘려준다. 그간 시중은행들은 금리 상승기에 수익 저하 등 리스크를 우려해 고정금리 대출을 최대 5년까지만 인정해주는 바람에 고객 입장에선 있으나 마나한 상품으로 통했다. 분할 상환대출도 부동산 활황기엔 매력적인 상품이 아니었다. 하지만 정부가 DTI 적용 확대와 함께 주택담보대출 연착륙 방안으로 금융권을 압박하자 소비자들에게 좀 더 유리한 여러가지 상품들이 잇달아 출시되고 있다.

신한은행의 ‘지금 이(利)대로 금리안전 모기지론’은 기본형이 3∼15년간 고정금리가 적용된다. 금리도 연 5.0∼5.8%로 싸다. 여기에다 비거치식 분할상환을 선택하면 DTI 한도를 15%포인트 확대 적용 받을 수 있다. 혼합형은 5년에서 30년까지 만기 설정을 할 수 있다. 3년(최저 연 4.9%) 또는 5년(최저 연 5.0%) 간 고정금리를 적용한 뒤 나머지 기간 동안 변동금리가 적용되는 방식이다.

우리은행의 ‘마이스타일 모기지론’은 금리 변동 위험에 대처할 수 있도록 중간에 금리를 갈아탈 수 있다.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혼합금리를 택하면 대출을 받고 3년 후 금리 하락기에 유리한 신규취급액 기준과 상승기에 적합한 잔액기준의 혼합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국민은행은 DTI 비율이 10% 추가 가산되는 비거치식 분할상환 주택담보대출로 ‘KB 분할상환 모기지론’을 출시했다. 전용면적 85㎡ 이하인 국민주택 규모의 주택에 대해 담보대출을 받는 경우 근저당권 설정비용 일부를 깎아 준다. 또 대출이 시작된 후로 3년 동안은 해마다 대출금의 20%까지 조기상환 수수료를 내지 않고 갚을 수 있다. 하나은행도 비거치식 분할상환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0.10%포인트 인하했다.

◇고정금리 상품, 왜 뜨나=우리나라의 주택담보대출 시장에서 고정금리 상품은 전체 7.5%에 불과하다. 이는 미국(74%), 일본(80%)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하면 상당히 적은 규모다. 또 이 중 주택금융공사의 보금자리론이 전체 92%를 차지한다. 하지만 최근엔 보금자리론의 금리(기본형 연 5.2(10년 만기)∼5.45%(30년))와 시중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평균 연 4% 중반∼연 6% 초반) 차이가 급격히 줄고 있다. 정부 역시 금융권을 대상으로 당장의 금리는 낮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가계부채를 부추기는 원인이 되는 변동금리형 대출을 줄이도록 유도하고 있다.

부동산 투자로 인해 소위 ‘대박’이 가능했던 과거에는 집을 마련하기 위해 짧게는 3년간 돈을 빌린 뒤 집값이 오르면 집을 팔아 수익을 남기고 한꺼번에 돈을 갚는 패턴이 대부분이었다. 당시엔 단기간에 걸친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보다 이자부담이 적기 때문에 인기였다. 하지만 부동산 침체기가 길어지면서 집에 대한 인식이 바뀌자 금리가 오르면 인상된 이자를 고스란히 대출받은 변동금리 대출이 가계 부채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정금리 대출은 고객이 아닌 금융기관이 금리변동 리스크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이자가 다소 높다”면서도 “하지만 금리가 올라가는 시기에는 이자부담이 갈수록 늘어나는 변동금리보다 이자지출 규모가 확정되어 있는 고정금리 대출이 가계운용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