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삶의 의지 부축할 배려와 안전망 갖춰야
입력 2011-04-11 17:39
자살이 최근 우리 사회에 번지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생 4명이 올해 들어 잇따라 자살한 데 이어 연구비 유용혐의로 고민하던 생명공학과 박모 교수가 10일 극단적 선택을 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09년도 통계에 따르면 인구 10만명 당 자살자 수가 31.0명으로 자살률 세계 1위다. 교육과학기술부 자료를 보면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초·중·고 학생 자살자수가 870명으로 한해 평균 145명에 이른다. 대학생 자살률은 조금 더 높아 연간 230명이 자살하고 있다.
살면서 한번쯤은 자살을 생각한다. 자살관련 연구보고에 따르면 100명 중 3명은 생애주기 동안 한 번은 자살을 시도한다고 한다. 기독교를 비롯해 모든 종교가 자살을 죄악으로 여긴다. 굳이 종교적 교리를 내세우지 않더라도 자살은 고민과 고통의 해결책이 아니다. 극단적 선택을 하는 이들은 자살을 통해 현재 겪고 있는 극단적 고통에서 탈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살하면 모든 것이 끝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자살은 사랑하는 가족과 친구 등 주변사람들에게 극심한 고통을 남겨줄 뿐 결코 해결책이 아니다.
우리 사회의 자살률이 높은 것은 출세와 성공지향의 정서가 바탕에 깔린 독특한 문화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청소년·대학생 자살을 줄이기 위해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가족 구성원 간의 연대다.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 안전망 구축과 더불어 종교와 학교의 적극적 역할이 요구된다. 교과부가 청소년 자살과 예방을 위해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기 관리위를 구성한다고 한다. 일시적 반짝 관심이 아니라 체계적인 시스템이 갖춰져 가동되길 기대한다.
국회는 최근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 법’을 통과시켰다. 자살 위험성이 높은 사람을 조기 발견해 전문 의료인의 치료계획에 따라 상담 및 치료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자살 유해매체를 모니터링 하도록 했다. 법률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하지 않도록 하는 사회·문화 분위기 조성이 절실하다. ‘자살’을 거꾸로 하면 ‘살자’가 되듯 인식전환에 사회 구성원 모두가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