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신용자 노린 묻지마 카드 급증… 2010년 60% 늘어

입력 2011-04-10 21:08

지난해 신용카드사들이 저신용자들에 대한 카드발급을 60%나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2의 신용카드 대란’이 우려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고객 심사기준을 제대로 지켰는지 등을 조사하기로 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발급된 신용카드 1200만장 중 7∼10등급에 해당하는 저신용자가 발급받은 카드는 전체의 8.7%에 해당하는 104만장이었다.

2009년엔 신규 발급된 970만장의 카드 중 저신용자에게 발급된 카드가 6.6%인 64만장이었다. 1년 만에 저신용자에게 신규 발급된 카드 수가 60% 이상 급증한 셈이다.

이에 비해 신규발급 카드 중 신용이 높은 1∼3등급자의 비중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신규발급 카드 가운데 1∼3등급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46.7%였지만 지난해는 43.7%로 3.0% 포인트 하락했다.

이 같은 현상은 영업경쟁에 나선 카드사들이 고객 확보를 목적으로 저신용자에 ‘묻지마’식으로 카드를 발급한 결과가 아니냐는 게 금융당국의 시각이다.

최근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이 “모집인을 잡아서 과징금을 부과해봤자 소용없다. 6개월 정도 카드발급 실적과 서류를 받아 분석한 뒤 신용도 낮은 사람에게 카드를 발급하는 등 문제가 드러나면 엄중 제재할 것”이라고 발언한 것도 이런 측면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금감원은 금명간 카드사의 신용카드 발급 현황 자료를 넘겨받아 분석에 착수키로 했다. 금감원은 일단 카드사가 신규로 카드를 발급할 때 고객 심사기준을 제대로 지켰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또 카드사들의 고객 심사기준이 적정한지도 함께 살펴보기로 했다. 특히 최근 심사기준을 변경한 카드사에는 변경 사유도 따져볼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현장점검을 병행해 인터넷과 전화를 통한 카드모집 실태도 점검키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신용자의 경우 신용카드로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를 이용하는 빈도가 높기 때문에 가계부채 관리차원에서도 ‘묻지마’식 카드발급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카드사들의 자료를 분석한 뒤 2분기 내에 결과를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