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방사능 공포] 정부, 폐연료봉 저장 2024년까지 8년 연장 검토

입력 2011-04-10 18:13

국내 원자력발전소 내 폐연료봉(사용 후 핵연료)을 지금보다 촘촘히 저장해 포화시점을 당초보다 8년 늘린 2024년으로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은 10일 국회 지식경제위 한나라당 간사인 김재경 의원에게 제출한 ‘사용 후 핵연료 관리대안 수립 및 로드맵 개발’ 연구용역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국원자력학회 컨소시엄은 정부의 폐연료봉 관리 공론화의 일환으로 2009년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연구용역을 수행했다.

보고서는 “임시저장수조 저장시설 개선, 건식 저장시설 추가 설치와 함께 원전 내 다른 부지로 폐연료봉을 이송하면 임시저장 포화시점을 최소 2024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경우 원전별 포화시점은 고리원전은 2016년에서 2029년으로, 영광원전은 2021년에서 2024년으로 연장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으며 울진원전은 2018년에서 2029년으로, 월성원전은 2017년에서 2026년으로 각각 연장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이 같은 임시저장 시설이 포화되기 전에 ‘발전소 외 저장시설’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은 또 일본 후쿠시마 원전 4호기 내 폐연료봉 저장수조에서 수소 폭발 화재로 인해 방사능 누출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폐연료봉 저장의 안전성 강화 방안을 점검하기 위해 연구용역 기간을 최대 5개월 연장키로 했다.

공단 측은 “이 기간에 일본 원전 사고를 철저히 분석하고 전문가그룹 자문회의와 설문조사, 토론회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며 “아울러 현재 정부가 수행 중인 ‘원전안전종합점검’에 따른 보완조치 결과도 반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