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日지진 한 달, 대응태세 전면 점검을

입력 2011-04-10 19:24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한 지 오늘로 꼭 한 달이다. 사망·실종자가 2만7000여명, 건물 도로 교량 등 직접적인 피해액만 일본 정부 추산으로 25조엔(약 322조원)에 이른다. 아직도 15만5000명은 피난소 생활을 하고 있다. 희생자들과 유가족 그리고 이재민들에게 심심한 위로를 보낸다.

막혔던 도로가 뚫리고 피해 현장 복구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으나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수습이 계속되고 있어 재난은 아직 진행형이다. 원전 사고로 인한 방사능 누출, 그로 인한 공기 및 해수 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일본 국내뿐 아니라 한국을 비롯한 인접 국가들까지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우리 정부는 지난 6일 원전·방사능 관련 관계기관대책회의(TF)를 가동했으나 다소 뒤늦은 감이 없지 않다. 당장은 방사성 물질 관련 대응이 최우선이겠으나 차제에 원전의 안전성 강화와 더불어 원전 중심의 에너지 공급 방식에 대해서도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는 재검증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기업의 대응도 주목된다. 일본 정부는 반도체 업계의 공급 차질로 전 세계 산업 피해가 4700억 달러(약 51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고 9일 닛케이신문은 보도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어제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산 부품 조달은 아직까지 비교적 순조롭지만 반도체 관련 일부 품목은 생산 정상화가 더뎌 조달 차질이 예상된다.

자연재해가 언제 어떻게 밀어닥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니 만큼 기업들도 자체적인 위기대응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수출 위주의 우리 경제 구조상 수입 원자재 및 부품 공급 루트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일본 첨단 기술부품 의존형 산업 구조에 대한 근본적 개선책을 이번 기회에 마련해야 하겠다.

이번에 확인된 또 하나 중요한 이슈는 인접국가 간 정보공개 및 협력 시스템의 필요성이다. 일본의 재앙은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웃 나라에 고스란히 파급되는 만큼 인접국 간, 즉 한·중·일 간 재난구호 연대 체계부터 신속히 구축해야 하겠다. 고통 중인 일본에 거듭 위로와 성원을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