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비즈니스벨트 갈등] “백지상태서 검토키로… 분산 얘기 없었다”
입력 2011-04-07 18:11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이하 과학벨트위원회) 첫 회의가 7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열렸다. 과학벨트 입지의 분산 배치를 두고 정치권과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열린 것이어서 회의 결과에 관심이 쏠렸다. 일단은 일부 언론과 정치권에서 흘러나온 과학벨트 분산 배치 관련 내용은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과학벨트위원회 대변인 격인 이준승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은 첫 회의 후 가진 브리핑에서 “과학벨트 핵심 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을 대전 대구 광주 세 지역으로 나눈다는 얘기를 언론 보도를 통해 접했는데, 오늘 회의에서 분산 배치 얘기는 나오지 않았다. 위원들 간에 우려 표명도 없었다”면서 “그동안 여러 채널을 통해 토의됐던 검토안 등을 다 내놓고 백지 상태에서 검토키로 했다”고 밝혔다.
과학벨트위 위원장인 이주호 교과부 장관도 모두발언에서 “지금 이 시점에서 교과부 과학벨트안(案)이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 전적으로 위원님들이 앞으로 논의해 결정할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 장관은 이어 “과학벨트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과학적 합리성에 기초해 판단해줄 것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민간 과학기술계 인사 13명을 포함해 모두 20명으로 구성된 과학벨트위는 회의에서 향후 일정과 운영 방안 등을 논의했다. 산하 분과위원회인 입지평가위원회와 기초과학연구원위원회는 각각 김상주 대한민국학술원 회장과 박상대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이 수장을 맡아 회의를 진행키로 했다.
입지평가위원회는 과학벨트 입지 평가를 맡고, 기초과학연구원위는 과학벨트의 핵심 콘텐츠인 기초과학연구원의 설립 형태 및 운영 방안을 논의한다. 과학벨트위 전체회의 후 별도로 열린 입지평가위 회의에서는 입지 평가 지표와 방법, 일정 등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2차 전체회의는 오는 13일 열리며 이날 기초과학연구원위가 별도 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과학벨트위는 앞으로 과학벨트의 입지, 예산 및 재원조달 방법, 콘텐츠 등을 논의해 올 연말까지 최종적으로 과학벨트 기본계획을 확정하게 된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