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TV 산업 지평 넓히기… 정부, 콘텐츠 등 과제 추진
입력 2011-04-06 18:50
정부가 스마트TV 산업 발전을 위해 스마트TV의 경쟁력 제고, 콘텐츠 및 서비스 육성, 인프라 구축 등 3가지 정책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스마트폰이 모바일 산업에 일대 전환을 가져온 것처럼 스마트TV도 향후 TV 산업 및 방송 환경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이란 인식이 깔려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 문화체육관광부는 6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TV 산업 발전 방안’을 보고했다. 스마트TV는 인터넷과 연결돼 방송 시청뿐 아니라 게임, 영상통화, 애플리케이션(앱) 활용 등이 가능한 TV다.
우선 플랫폼과 UI(사용자 환경)에 대한 차세대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단말기에서 이용하는 N스크린과 맞춤형 광고 등 서비스 활성화에 필요한 플랫폼을 마련하고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스마트TV를 연동시키는 데 필요한 기술 표준화도 추진한다. 지난해 9월 출범한 스마트TV 포럼을 확대 개편해 업계 간 비즈니스 협력의 장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한류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을 지원하고 TV 제조사와 공모 사업을 벌여 게임이나 디지털북 제작을 지원하는 등 시장 창출형 콘텐츠 개발을 장려하기로 했다. 국내 콘텐츠 업체들은 연매출 10억원 미만이 87%를 차지할 정도로 규모가 영세해 시장 활성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정부는 이 점을 감안해 교통, 민원 등 공공부문의 앱 제작 시범사업을 벌여 콘텐츠 업체(중소기업)와 기기 및 서비스 업체(대기업)가 동반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우수 협력 과제에는 50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인프라 구축 방안도 담았다. 스마트TV와 같은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의 확산으로 네트워크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유선 부문은 2012년까지 현재보다 10배 빠른 기가(Giga)급 네트워크를 상용화하고 전국 어디에서나 100Mbps급 광대역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