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비즈니스벨트 갈등] 과학벨트 분산 가능한가… 시너지 효과 기대 어려워

입력 2011-04-06 18:47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은 2015년까지 총 3조5000억원이 들어가는 거대 프로젝트다.

선진국에 한참 뒤처진 기초과학과 원천기술을 키우고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하기 위해 국제적 수준의 종합 연구기관(기초과학연구원)을 설립하고, 초대형 연구시설(중이온가속기)을 설치함으로써 과학과 비즈니스가 융합된 ‘과학 클러스터’를 조성하자는 것이다.

과학벨트의 첫 출발점은 2005년 민동필 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 등 과학·예술·인문학 교수들이 결성한 ‘랑콩트르(Rencontre·만남)’ 모임을 통해서였다. 당시 이들은 세계 일류 과학자들이 한 곳에 모여 자유롭게 토론하며 연구하는, 과학과 예술이 결합된 공간을 제안했다. 이 구상은 2006년 4월 당시 대선 주자였던 이명박 서울시장에게 ‘은하수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보고됐고 이후 대선 공약으로 확정됐다.

일부 지자체의 과학벨트 분산배치 주장에 대해 과학기술인들은 “정치적, 지역적 이해관계 때문에 과학벨트의 원래 취지를 망치는 것”이라며 부정적인 입장이다. 과학벨트의 핵심 요소인 기초과학연구원, 중이온가속기, 비즈니스 기반, 과학과 문화가 융합된 국제적 도시환경 등이 지역적으로 크게 분리될 경우 시너지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과학벨트가 분산되면 과학벨트 조성의 근본 목적인 ‘세계적 석학과 과학기술 인재 유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한 원로 과학자는 “원래 과학벨트법이 국회를 통과할 당시에도 거점지구에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가 함께 들어가는 것을 가정하고 처리된 것으로 안다”며 “중이온가속기 같은 핵심 시설이 없는 기초과학연구원은 그냥 일반 대학 연구소와 다를 바 없다”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