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비즈니스벨트 갈등] “내 지역에”… 유치전 난립

입력 2011-04-06 14:45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를 놓고 맞붙었다. 과학벨트 조성을 위한 특별법이 지난 5일 발효됨에 따라 각 지자체들은 3조5000억원에 이르는 과학벨트를 유치하기 위해 앞 다퉈 유치전에 뛰어들고 있다.

대구·경북·울산은 과학벨트 유치를 위해 다시 뭉쳤다. 신공항 밀양 유치를 위해 힘을 모았던 이들은 신공항 백지화 이후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과학벨트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들은 경북을 중심으로 뭉쳐 균형 발전을 위해서는 과학기술 투자가 분산돼야 하며 산업 기반이 가장 우수한 동해안 지역에 과학벨트가 들어서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기자회견에서 “과학벨트 입지 선정은 특별법 절차와 기준에 따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전·충청권은 과학벨트가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라는 점을 강하게 부각시키고 있다. 충청권 국회의원과 충청향우회 회원, 과학벨트 대선공약 이행 범충청권 비대위는 지난 5일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김연광 대통령실 정무1비서관에게 충청권 시·도민 246만명의 서명록을 전달하는 등 약속 이행을 압박했다.

광주·전남권은 과학벨트 조성안으로 광주·전남에 본원, 대구·경북에 제2캠퍼스(분원), 충청권에 제3캠퍼스를 설치하는 ‘삼각벨트론’을 주장하고 있다. 강운태 광주시장은 지난 5일 ‘과학벨트특별법’ 발효와 관련해 성명을 내고 “광주·전남은 지반의 안정성과 부지 확보의 용이성 측면에서 경쟁 지역과 비교할 수 없는 절대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남·창원은 지난 1월 과학벨트유치위원회를 구성하고 연구기관이 몰려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된 창원지구를 과학벨트 입지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창원은 3개 시 통합 후 110만명의 메가시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과학벨트 창원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기권은 과천을 과학·교육·연구 중심 도시로 육성해야 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지만 과학벨트 유치를 위한 공식적인 활동에는 아직 나서지 않고 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