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방사능 공포] “우리에겐 절대 안 온다더니… 정보 은폐 아니냐”

입력 2011-04-06 18:57

여야 의원들은 6일 국회 정치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일본 방사성 물질 국내 유입에 대한 정부 발표에 의문을 제기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한나라당 신성범 의원은 “당초 기상청은 편서풍의 영향으로 한반도에는 방사성 물질이 올 수 없다고 자신했지만 지금은 거의 매일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고 있다”며 “정부의 설명을 믿을 수 있는 것인가”라고 따졌다. 민주당 조배숙 의원은 “정부는 실시간 방사능 검출 정보를 은폐했다”며 “원전 수출을 정권의 치적으로 만들기 위해 원전 위험성을 숨기려 했다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답변에 나선 김황식 국무총리는 “정부가 방사능 정보를 왜곡하려는 생각은 전혀 없다”고 해명한 뒤 “극단적인 상황까지 대비해 대책을 강구 중”이라고 밝혔다. 또 “구소련에서 체르노빌 원전이 터졌을 때 유럽 전역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 우리라고 (일본 원전 사고로) 검출이 안 될 수는 없을 것”이라며 “다만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인체에 해를 미치는 수준은 아니라고 한다”고 설명했다.

민주당 신학용 의원은 “기상청이 방사성 물질을 차단하기 위해 태백산맥에서 인공강우를 추진했다”고 주장했다. 신 의원은 “동풍이 불 것으로 예상해서 인공강우를 시도하려고 했지만 때마침 동풍이 불지 않아 계획이 취소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김 총리는 “인공강우 실험은 극비로 속여야 할 사항이 아니다”며 인공강우 계획은 원전 사고와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국내 원전 안전성에 대한 문제도 제기됐다. 한나라당 이정선 의원은 “경북 울진 원전은 해수면으로부터 10m 높이에 위치한 데다 방호벽도 없다”며 “10m가 훨씬 넘는 쓰나미가 몰려올 경우 울진 원전은 제2의 후쿠시마 원전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의원은 또 “지난달 15일 동해안에서 실시한 쓰나미 대피 훈련 때 주민 참여율은 절반도 안됐고 정부는 침수 지역을 대피소로 지정했다”며 “안전 불감증의 단면”이라고 질타했다.

김 총리는 “지진 학자들에게 자문한 결과, 우리나라에서 일본 같은 규모의 쓰나미가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한다”며 “그러나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에 대비한다는 취지에서 오는 20일까지 국내 원전 관련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