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박, 그 ‘파멸의 덫’ 뿌리뽑자… 기독NGO “300만 도박 중독자 치유-사행산업 근절”
입력 2011-04-05 20:29
한국교회가 기독 NGO와 함께 도박 근절에 팔을 걷어붙였다. 늘어나는 성인 PC방과 인터넷 게임 등 온라인 도박과 카지노, 경마, 복권 등 도박산업의 무분별한 확장이 우리 가정과 사회에 미치는 각종 폐해를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는 것이다. 두란노아버지학교, 도박을걱정하는성직자모임, 기독교사회책임, 한국기독교청년연합회 등 기독 NGO와 시민단체들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제6회 도박 추방의 날’ 캠페인을 열고 사행성 도박산업의 추방과 도박중독 예방을 위한 법과 제도 마련을 촉구했다.
종교계와 시민단체 300여곳이 결성한 ‘도박산업 규제 및 개선을 위한 전국네트워크’는 이날 성명을 내고 “정부와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세수 올리기에 급급해 도박장 유치와 도박산업 확대에 혈안이 돼 있다”고 개탄하면서 “300만 도박중독자가 거리를 헤매고 한탕주의로 가득 찬 대한민국을 더 이상 도박공화국으로 남겨둘 순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행사에선 경마장에서 사용한 마권과 경마정보지 찢어 던지기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또 도박 추방을 기원하며 종이비행기를 날려 보내고, 절절한 도박피해 사례가 소개됐다. 참석자들은 도박 희생자들을 위한 묵념과 추모의 시를 낭독한 뒤 거리 행진을 하며 ‘도박공화국, 한탕주의, 대박 문화는 더 이상은 안 됩니다’라는 제목의 유인물을 시민들에게 나눠 주었다.
이들 단체는 사행사업자에게 도박중독 치유부담금을 부과하는 내용의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사감위)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를 촉구하기도 했다. 김성이 사감위 위원장은 “한국의 도박중독 치유를 위한 예산은 사행산업 순매출의 0.2%로 선진국의 8분의 1에 불과하다”며 “도박중독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행사업자가 도박중독 예방과 치유에 더 많은 부담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감위에 따르면 2009년 정부에서 운영하는 6대 사행산업(카지노, 경마, 경륜, 경정, 복권, 체육진흥투표권) 매출은 16조5000억원에 달하며 이는 전년에 비해 10% 이상 증가했다. 99년 4조원의 매출을 감안할 때 10년 동안 4배 이상 증가했다.
교계와 시민단체들은 2006년부터 매년 4월 5일에 ‘도박 추방의 날’ 기념식을 갖고 있다. 국내 최초의 합법적 도박장인 ‘조선경마구락부’가 문을 연 1922년 4월 5일을 기억하기 위해서다.
교계는 최근 중독예방시민연대를 발족했다. 시민연대는 전국 교회 목회자와 성도들에게 도박을 비롯한 각종 중독의 폐해를 알리고 도박중독자 및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목회자들은 도박이 반성경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도박규제넷’ 사무총장 김규호 목사는 “불로소득을 바라는 도박은 ‘땀 흘려 일하라’는 하나님 말씀을 전면 부정하는 것”이라며 “한국교회가 도박 문화 청산에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영대 기자 yd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