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기업·정부 빚 2586조 8년 만에 倍 껑충… GDP 2배
입력 2011-04-03 18:42
지난해 개인,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들의 빚이 국내총생산(GDP)의 2배가 넘는 2600조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자금의 흐름을 통해 실물 및 금융경제 활동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한국은행 자금순환표에 따르면 개인, 비금융 기업, 정부의 이자부 금융부채는 지난해 말 현재 2586조2245억원으로 전년(2408조 2754억원)보다 7.4% 증가했다. 이는 변경된 기준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2년 말(1258조6630억원)보다 105.5% 증가한 것이며, 지난해 명목GDP(1172조8034억원)의 2.2배 수준이다.
이자부 부채란 자금순환표상 부채 항목에서 주식 및 출자지분, 직접투자, 파생금융상품, 상거래신용 등을 제외하고 실제로 이자가 발생하는 부채만 따로 모은 것이다.
경제주체별로는 기업의 이자부 부채가 1281조8392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공기업 부채가 254조6909억원, 민간기업 부채가 1027조1482억원이었다. 절대액수로는 민간기업이 공기업보다 훨씬 많지만 부채 증가율은 정반대다. 지난해 공기업 부채 증가율은 2002년 대비 174.4%, 2005년 대비 131.7%에 이른다. 민간기업의 2002년 대비 부채 증가율이 80.5%, 2005년 대비 68.8%인 것을 감안하면 공기업의 부채 증가율이 민간기업의 두 배에 달했다.
개인(가계+민간비영리단체)의 이자부 부채는 전년보다 8.9% 증가한 937조2837억원으로 900조원을 돌파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회보장기구를 합친 정부 부채는 367조1016억원으로 금액상 가장 적었지만 부채 증가 속도는 가장 빨랐다. 2002년과 비교한 부채 증가율은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 정부가 267.8%로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기업과 개인의 부채 증가율은 각각 93.7%, 88.6%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자부 부채의 급증은 금리 상승기에 한계계층을 중심으로 경제주체들의 이자 부담이 크게 늘어나고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며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복지지출 등 재정지출 소요가 급증하며 빠르게 늘고 있는 정부부채도 경제 전반에도 나쁜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고세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