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위원회 4월 7일 첫 회의… 정치권·지자체 등 관심 집중

입력 2011-04-03 18:22

영남권 신공항 건설 계획이 무산된 뒤 지방자치단체와 정치권, 과학기술계의 관심이 집중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입지 선정 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부 위원회가 7일 공식 출범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5일 과학벨트특별법이 발효됨에 따라 7일 과학벨트위원회 1차 회의가 열릴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과학벨트위원회는 교과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교과부·기획재정부·행정안전부·국토해양부·지식경제부·보건복지부 등 관계 부처 차관 6명과 민간 전문가 13명 등 모두 20명으로 구성된다. 위원회는 앞으로 과학벨트의 입지, 예산 및 재원조달 방법, 콘텐츠 등을 논의해 최종 기본계획을 확정하게 되는데, 산하에 ‘입지평가 위원회’와 ‘기초과학연구원 위원회’ 등 2개의 분과위원회를 설치한다. 정치권과 지역 간 첨예한 갈등으로 관심의 초점인 과학벨트 입지의 경우 입지평가 위원회가 결정한다. 교과부 관계자는 “과학벨트의 입지 선정을 포함, 모든 관련 계획은 이제부터 과학벨트위원회가 논의해 결정할 것”이라면서 “그동안 과학벨트위 가동을 위한 실무 기초 작업이 이뤄져온 만큼, 시간상 상반기 내 선정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과학연구 기반과 최적의 관련 비즈니스 환경을 갖추기 위한 과학벨트는 정부 추진 지원단 추정(2009년 1월) 예산 규모가 약 3조5000억원에 이르는 대형 국책사업으로, 각 지자체가 사활을 건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현재 대전·충청권, 광주·호남권, 포항·대구·경북권, 창원·경남권, 과천·경기권 등이 과학벨트 유치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있다. 일부 지자체와 정치권은 ‘지역균형 발전’ 논리를 내세워 과학벨트를 여러 지역에 걸쳐 분산 배치하자는 주장을 하고 있지만 과학기술계는 “그렇게 되면 세계적 석학과 과학기술 인재 유치가 어렵게 돼 과학벨트 조성의 당초 취지를 망치는 것”이라며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