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후폭풍] 靑 “국가 백년대계 위한 결정”… ‘先 대국민 설득 後보완’ 가닥
입력 2011-03-30 21:51
1. 정치논리에 춤추는 대형 개발사업
청와대는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발표 이후 대책으로 ‘선(先) 설득, 후(後) 보완’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국민들을 상대로 이번 결정이 국가의 백년대계를 고려한 결정이었음을 설득한 다음 탈락 지역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겠다는 의도다.
핵심 관계자는 30일 “이번 결정이 정치적 목적을 갖고 내린 것이 아니라 국가의 미래를 위한 결정이라는 점을 중점적으로 알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당장은 탈락 지역의 반발이 거세겠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명박 대통령의 선택을 이해해줄 것이라는 기대도 포함돼 있다. 이 대통령이 직접 국민과 정치권에 이해를 구하는 방안도 다각도로 모색 중이다. 이르면 이번 주 기자회견이나 대국민담화 등을 통해 입장을 밝힐 예정이며, 이후 정치권과의 면담 등도 추진될 전망이다. 이 대통령의 영남권 방문도 검토 중이라고 한다. 전방위 설득작업인 셈이다.
탈락 지역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 그러나 ‘거래 방식’은 아니라고 청와대는 설명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탈락했으니 다른 것을 준다는 접근 방식이 아니다”며 “해당지역이 신공항 유치에 목을 맬 수밖에 없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면 함께 고민하고 풀어보자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과 청와대의 설득작업 과정에서 구체적인 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김황식 총리로부터 입지 평가 결과를 보고받은 뒤 한동안 생각에 잠겼다고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이 전했다. 그만큼 ‘공약 번복’에 따른 부담이 컸다는 뜻이다. 현재 청와대 내부에서는 ‘신공항 후폭풍’을 제대로 관리해야 한다는 위기감이 크다. 현 정권의 핵심 지지층인 영남권이 분열하는 상황인 데다 ‘제2, 제3의 신공항’도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다음달부터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선정을 위한 위원회가 출범, 입지선정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된다. 4·27 재·보선이 예정돼 있고, 일본 원전 사고로 인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 내에서 ‘레임덕’ ‘대통령 탈당’ 등의 말들이 여과 없이 흘러나오는 상황도 심각하게 보고 있다. 재·보선 이후 2012년 4월 총선을 향한 ‘정치 시즌’이 조기 개막될 경우 이 대통령의 국정 장악력이 급속도로 약화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