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후폭풍] ‘포스트 신공항’ 일단 김해·대구공항 증편… ‘차기’ 재추진할 수도

입력 2011-03-30 22:08


동남권 신공항 건설은 좌절됐다. 하지만 동남권 항공 수요가 늘어나는 것이 분명한 만큼 보완 대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황식 총리는 30일 “영남권의 항공수요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보완대책은 추진하겠다”면서 “영남지역을 기점으로 보다 많은 국제노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기존 공항의 여건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김해공항과 대구공항의 국제선 운항 편수를 늘리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당장 실현 가능한 방안이긴 하나 단기 대책이란 점에서 근본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여권 일각에서는 김해공항 확장을 주장해 왔다. 하지만 이 또한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

김해공항은 10㎞ 이내에 신어산과 돛대산이 있다는 지리적 단점이 있다. 날씨가 나빠 시계에 의존한 비행을 할 때 매우 위험하다. 실제로 2002년 4월 중국 민항기가 선회접근하다가 돛대산에 추락, 129명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벌어지기도 했다. 애초 김해공항의 위험성 때문에 새로운 공항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는 점에서 김해공항 확장론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다.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김해공항을 확장할 경우 활주로 문제와 24시간 운영이 가능한지 등을 별도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것이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라는 뉘앙스다.

다음 정권에서 신공항 건설이 재추진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박창호 입지평가위원장은 “장기적으로 볼 때 영남권에 허브 기능을 갖춘 대체 공항이 필요하다는 것이 개인적 소신”이라며 “언젠가 돼야겠지만 아직은 아니라고 평가단이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포항과 울산, 사천과 대구 등 영남지역에 공항이 많은데 이들을 통합하는 등 시스템을 새로 하는 것이 좋겠다”고 덧붙였다. 기존 공항 통합 등의 재정비 작업이 선행된다면 새로운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평가위가 판단 근거로 삼은 비용대비 편익비율(B/C) 수치는 2009년 조사한 것이다. 몇 년 뒤 상황에서 B/C 결과가 재조정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대구·경북지역 국회의원들도 차기 정권에서 재추진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악화된 동남권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공항 대신 동남권 KTX를 조기 착공하는 방안도 제시된다. 하지만 막대한 예산이 드는 데다 또 다른 지역 차별과 특혜 논란이 일 수 있어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다.

김도훈 기자 kinch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