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후폭풍] “밀양·가덕도 모두 부적합”… 동남권신공항 결국 백지화

입력 2011-03-30 21:58

갈등 상처만 남긴 ‘票퓰리즘 공약’

정부는 30일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영남 주민들의 숙원사업인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에 따라 이 대통령은 여당의 핵심 지지기반인 대구·경북 및 부산 지역의 민심 이반, 여당 내 영남 의원들의 반발 등을 무마할 정치적 부담을 안게 됐다. 여권에서는 이 대통령 사과 및 책임론과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을 비롯한 신공항 정책 담당자 인책론도 제기되고 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오후 5시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입지평가 결과에 따라 새로운 공항 건설은 더 이상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며 “영남 지역 주민들은 물론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다는 말씀 드린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어 “다만 영남권의 항공 수요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보완 대책은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정 국토부 장관은 “김해공항 확장 문제는 활주로 운용 문제나 24시간 운영 가능성 등 여러 가지 검토해야 할 사항이 있다”며 “일단 대구공항과 김해공항의 국제선 운항 편수를 늘리는 데 총력을 경주하겠다”고 설명했다.

앞서 박창호 동남권신공항입지평가위원장은 정부 과천청사에서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 모두 공항 입지로서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했다”고 신공항 입지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입지평가단의 평가 결과에 따르면 3개 평가 분야별(공항운영·경제성·사회환경) 총점을 합산한 점수는 100점 만점에 밀양 39.9점, 가덕도 38.3점으로 모두 합격 커트라인인 50점에 미달했다. 박 위원장은 “두 후보지 모두 불리한 지형조건으로 인해 환경 훼손이 우려되고 사업비가 과다하며 경제성이 미흡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신공항 사업이 백지화됨에 따라 여권 내 갈등이 지속되고 이에 따른 이 대통령의 국정 장악력 약화 현상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당장 4·27 재·보선에서 신공항 문제가 이슈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도 영남권 민심을 어떻게 달래느냐가 여권의 최대 과제로 떠올랐다는 분석이다.

이 대통령은 김 총리로부터 신공항 입지 선정 결과를 보고받고 “마음이 무겁다”며 “그러나 국익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었음을 국민들에게 잘 알려 달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신공항 백지화와 관련, 이르면 이번주 안에 국민들에게 직접 이해를 구한다는 방침이며, 해당 지역 방문 및 정치인·지방자치단체장 등과의 면담도 검토하고 있다.

김남중 박재찬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