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역 주민이 주인 되는 재보선 돼야

입력 2011-03-30 17:53

4·27 재·보선은 당선무효 등으로 공석이 된 지역일꾼을 뽑는 지역선거다. 그럼에도 여야가 전면 대결하는 전국선거 양상으로 확대돼 가고 있다. 각 당은 특히 3개 지역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지역 대표성을 가진 인물을 공천하기보다 지명도가 높은 인물을 출마시켜 내년 대통령, 국회의원 양대 선거에 앞서 정국 주도권을 잡으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성남 분당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나가기로 했고 여기에 맞서 한나라당도 적절한 대항마를 찾는 모양이다. 지역적 현안이나 주민의 숙원은 외면한 채 각 정당은 내년 선거에서 어떻게 하면 자당이 유리할까 따지며 선거전략을 짜고 있다. 정당은 유권자 지지를 바탕으로 한 선거 결과에 따라 부침한다. 이 때문에 이번 재·보선을 전국선거로 몰아가는 행태를 일방적으로 나무랄 수는 없지만 바람직스러운 일은 아니다.

이렇게 각 정당이 좁은 지역에서 사활을 걸고 격전을 치르면 그 부작용 또한 심각하다. 불법·탈법선거가 횡행하고 금권선거 또한 막을 수 없다. 정작 주인인 지역 주민들은 뒷전이고 중앙당 거물들이 내려와 선거 판을 휩쓸고 다니는 이른바 상주보다 곡쟁이들이 판치는 선거가 될 것이 뻔하다. 또한 정책대결보다 상대 당과 상대 후보의 약점을 파고들어 득표를 하려는 네거티브 선거전 양상이 불 보듯 뻔하다.

각 정당이 거물들을 내세워 사활을 걸고 싸우려든다면 이를 막을 수는 없다. 그러나 분명 이번 재·보선은 전국적으로 치러지는 총선거가 아니라 지역 대표성을 지닌 지역일꾼을 뽑는 소규모 선거다. 여야 각 정당이 이번 재·보선을 과열시키기보다 차분하게 지역 주민이 주인이 되는 선거로 치렀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