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불거진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에 교계 "세계 교회와 연대"
입력 2011-03-30 16:57
[미션라이프] 한국 기독교계가 발끈했다. 일본 문부성이 30일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주장을 한층 강화시킨 중학교 교과서 검정 결과를 발표했기 때문이다.
교계 인사들은 대지진과 쓰나미가 휩쓸고 간 일본 재난지역에 대한 한국민의 온정에 찬물을 끼얹는 후안무치한 행동이라며 대노했다. 아울러 그동안 이명박 대통령이 일본에 강경 입장을 보이지 못한 결과라며 기독 정치인들이 앞장서 역사바로세우기 운동에 나서야 할 때라고 촉구했다.
한국교회언론회는 이날 논평을 통해 “재난 당한 일본을 진정으로 도우려는 한국민의 사랑과 노력에 대해 일본은 발길질로 응답했다”고 분개하고 “양국의 선린관계와 국민 사이에 감정이 악화된다면 이는 전적으로 일본의 책임”이라고 했다. 언론회는 이어 우리 정부에게는 냉정하면서도 단호하게 대처하며 ‘실효적 지배’ 강화 같은 실제적 방법을 강구하라고 요구했다.
이용규 한국교회역사바로알리기운동본부장은 “많은 사료들이 독도가 우리 땅임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아직도 억지 주장을 펴고 있어 안타깝다”며 “일본 내 양심세력과 연대해 일본의 역사의식을 바로잡는 대대적인 운동을 벌여야 한다”고 했다. 일본인들을 향한 감성적 호소와 이성적 논리를 융합해 진리를 바로 세워나가야 한다는 주문이다. 이 본부장은 “일본과의 역사적 갈등은 하루아침에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며 “뜻있는 교계 지도자들이 종자돈을 내 국제적인 연구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관련 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세계 학계에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공인받을 수 있도록 적극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랫동안 일본복음주의동맹(JEA)과 독도 영유권 등 일본 역사 교과서 문제에 대해 공동 투쟁을 해온 김명혁 한국복음주의협의회장은 “요즘 이 문제에 대한 일본 교계의 시각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면서 “히로시 이나가키 전 JEA 총무 등과 달리 일본의 젊은 목회자 그룹은 역사의식이 약하고 한국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는 애틋한 마음조차 없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 김 회장은 “교계도 힘을 보태야겠지만 우리 정부가 정치적 수사가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을 시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기독교 역사학자 및 일본선교 전문가들은 이번에 검정을 받은 일본 교과서는 2008년 당시 문부성이 중학생들에게 독도는 일본 영토임을 주지시키기로 결정한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의 내용을 반영한 것임을 감안하면 일본의 행동 패턴을 읽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의 거친 반응을 유도, 독도를 국제분쟁지역화하려는 고도의 전략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은선(안양대) 박명수(서울신대) 교수 등은 “우리 국민은 일본에 대한 인도적 지원과 독도 문제를 분리, 대처하고 일본의 양심세력과 공동으로 민간 차원에서 올바른 역사교육을 진행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경훈 일본CGNTV 본부장은 “여당인 민주당의 도이 류이치 의원이 지난달 27일 한국 의원들과 함께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중단을 촉구하는 공동선언에 서명한 것으로 알려져 탈당하는 등 곤욕을 치른 데서 알 수 있듯이 일본 우익세력의 압력이 상상 외로 크다”며 일본 지도층의 집단의식을 알고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본부장은 “독도 영유권은 매우 정교한 과정을 통해 풀어야 할 과제이기 때문에 일본 내 친한파 의원들의 입지를 줄이는 돌출행동은 최대한 자제하되 일본 교회를 포함해 세계교회와 공동 대처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미션라이프 함태경 기자 zhuanji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