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위원장직 유지”… 사퇴 번복 정운찬 ‘U턴’

입력 2011-03-28 22:19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28일 사퇴 의사를 번복하면서 초과이익공유제 실현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서울 반포동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제4차 동반성장위 전체회의에서 “제 거취를 놓고 논란이 있었지만 이는 동반성장이 본 궤도에 들어가기 위한 진통이었다고 생각한다”며 “초심을 잃지 않고 심기일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의 (동반성장 실현) 의지를 다시 확인하고 국민들의 지지를 느꼈다”며 “정부의 미흡한 지원은 조만간 해결할 테니 믿고 기다려 달라”고 덧붙였다.

이명박 대통령에게 지난 21일 사직서를 냈던 정 위원장은 이 대통령의 만류에 뜻을 돌이킨 것으로 보인다. 정 위원장은 회의를 마친 뒤 대통령의 의지를 확인받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여러 차례 받았다”고 답했고,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들었느냐는 물음에도 “그렇다”고 거듭 말했다.

정 위원장은 초과이익공유제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면서 자신과 각을 세운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에 대한 섭섭함을 드러냈다. 그는 “초과이익공유제를 내놓았을 때 국민들은 성원을 보냈고, 재계 일부에서는 차가운 반응을 보였다”며 “이는 어느 정도 예상했던 일이지만 정부 부처가 비판적인 시각을 보인 것에 대해서는 아연실색했다”고 말했다.

그는 “초과이익공유제는 대기업의 이익을 협력업체에 강제로 나눠주자는 것이 아닌데도 왜곡되고 폄훼됐다”며 “초과이익공유제는 대기업이 협력기업의 성장기반 확충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으로 힘을 모으면 실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위원들도 초과이익공유제의 취지와 내용에 공감을 표시했다. 동반성장위는 초과이익공유제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명칭도 바꾸기로 했다. 초과이익공유제라는 표현 대신 ‘창조적 동반성장사업’이나 ‘성과연동보상제’ 등으로 명칭을 바꾸는 게 좋겠다는 의견이 나왔다. 위원회는 앞으로 실무위원회를 꾸려 이 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정 위원장의 사퇴 의사 번복에 대해 최 장관은 “동반성장위는 민간 위원회”라며 의견 표명을 삼갔다. 최 장관은 하지만 “좋은 의견이 제기되면 검토해 제도화하겠다”고 말했다.

최 장관은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무역협회 조찬 강연에서 “동반성장은 정치적인 구호가 아니라 산업 강국으로 가기 위한 생존전략”이라며 “공정 경쟁에 따른 정당한 보상을 위해 민간 기업과 학계 등이 참여하는 동반성장위원회를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 위원장은 ‘신정아 파문’과 관련해 “개인적인 일로 위원회 일이 위축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서울대 총장으로 일하면서 학교나 총장직의 명예를 훼손할 만한 일은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이 위원장직을 계속 맡기로 한 것도 지금 사퇴할 경우 신정아 파문 등으로 인한 불명예 퇴진의 오명을 쓸 가능성이 있어 정면돌파를 시도하는 것이란 분석도 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