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도 비행금지구역 설정되나… 클린턴 “안보리 통과땐 군사개입 가능”

입력 2011-03-28 18:51

시리아의 시위가 점차 격화되면서 미국의 개입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은 일단 시리아 개입에 한 발짝 떨어져 있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시리아 정부의 폭력 진압 수위가 높아지면 리비아와의 형평성을 고려해 비행금지구역 설정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뉴욕타임스(NYT)가 27일(현지시간) 분석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이날 미 CBS방송의 한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해 “시리아와 리비아의 상황은 달라 지금 당장 군사조치를 취할 계획이 없다”고 못 박았다. 클린턴 장관은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로 시리아를 비난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결의안을 통과시키며 아랍연맹이 요청할 경우 군사개입이 가능할 것”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미 상원 국토안보위원회 위원장 조 리버먼 상원의원도 “시리아 정부가 리비아처럼 시위를 탄압한다면 비행금지구역 설정 등 군사개입을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바마 정부 출범 이후 미국은 시리아에 유화적인 정책을 펴 왔다. 이란과 함께 중동에서 가장 반미 성향이 강한 시리아를 포섭해 중동에서 장악력을 높이겠다는 계산이었다. 하지만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은 레바논의 이슬람 시아파 무장정파인 헤즈볼라와의 관계강화, 핵프로그램 추진 등에 나서면서 오바마 정부를 당혹스럽게 했다. 미 행정부 한 관계자는 “시리아 없이는 포괄적인 중동평화 협상이 이뤄질 수 없고 이 협상은 미국의 이익에 매우 중대한 건 사실”이라면서도 “국민의 신뢰를 잃은 정부와 협상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고 NYT는 전했다.

한편 지난 주말 시위로 최소 55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진 상황에 시리아 정부는 국가비상사태법 폐지 방침을 밝혔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모하메드 하바시 국회의원은 “29일 폐지를 공식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알아사드 대통령이 시위대의 분노를 가라앉히기 위해 내놓은 카드다.

시리아 정부는 27일 라타키아 지역의 시위 진압에 처음으로 군부대를 배치하는 등 시위 확산 방지에 전력하고 있다.

김준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