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신공항 사실상 백지화] 김해공항 확장案도 ‘산 넘어 산’
입력 2011-03-28 23:18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론이 확산되면서 대안으로 김해국제공항의 확장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김해공항 확장방안 역시 군사시설 이전 문제와 지역주민 반대, 타 지역 반발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아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김해공항 확장안은 2009년 5월 국토연구원이 동남권 신공항에 대한 타당성 연구용역을 수행하면서 부산시의 의뢰로 검토된 사안이다. 이후 부산지역 연구기관 등이 이에 대한 보완작업을 이어가면서 2개안 정도가 거론되고 있다.
제1안은 현재 2743m, 3200m인 2개 활주로를 300석 이상 대형 항공기의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길이 3800m, 폭 60m 이상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김해공항 남쪽으로 동서를 가로지르는 남해고속국도 지선 900m구간을 지하화해야 한다. 2안은 남해고속국도 지선을 지하화하지 않고 기존 활주로에서 시계방향으로 30도 정도 틀어 교차 활주로 2개를 신설하는 방안이다. 1·2안 모두 소요 비용은 3조2000억∼4조2000억원선, 공사 규모가 확대될 경우 최대 10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김해공항 확장론을 주장하는 쪽에서는 동남권 신공항 건설이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인 데다 정부의 재정적 부담이 크다는 점에서 절충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반대론도 만만치 않다. 현재 700여 가구 정도인 김해공항의 소음피해 권역이 공항 확장 시 7000가구 이상으로 늘어난다. 활주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남해고속국도 지하화 및 선형 변경이 필요하다. 또 신어산(650m), 금동산(410m), 돗대산(380m) 등 공항 인근 산의 대규모 절취가 불가피하다. 이 과정에서 공사비용만 신공항 건설 수준(10조원 안팎) 이상이 될 것이란 연구결과도 있다.
특히 김해공항 공군기지(K1) 이전 문제가 최대 난제다. 현재 공군 전술공수비행단이 사용 중인 김해비행장은 C-130, C-235 등 수송기들이 드나들고 있으며, 일부는 육군과 미군도 이용하고 있다. 오는 6월 말 공군에 인도되는 공중조기경보기(E-737 피스아이)도 이곳에서 운용될 예정이다.
군사기지 이전 문제를 담당하고 있는 국방부 시설기획관리 담당자는 “현재로서는 김해비행장 이전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얘기를 들은 바 없다”면서 “군기지 이전을 위해서는 작전상 문제와 대체부지 마련 등 다양한 사안을 검토해야 하기 때문에 이전 결정이 쉽지 않고, 이전한다 해도 상당히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찬 기자, 최현수 군사전문기자